국회가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폐쇄되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국회 일정에도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정기국회 꽃’이라 불리는 국정감사 준비에도 큰 차질이 빚어지면서 국감축소론까지 제기되고 있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의원회관은 강화된 방역 조치로 오는 13일까지 출입이 금지됐다.
그동안 취재진과 당직자들이 연이어 확진되면서 국회 내 감염병 확산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예년 같으면 밤 늦게까지 상임위 소관 부처 공무원들이 줄지어 대기하고 있어야 할 의원실 복도도 썰렁할 정도로 한산한 모습이다.
같은 상임위에 속한 의원실끼리 작전회의를 열어 머리를 맞대는 일이 거의 사라지는 등 한달여 앞으로 다가온 국감 준비에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국회 일각에선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되지 않을 경우 국감 증인과 피감기관 관계자들이 많이 모이는 형태의 국감의 축소가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수도권 한 국회의원은 “국회 폐쇄 상황이 반복되거나 장기간 이어지면 국감이 제대로 진행될까 걱정된다”며 “예년과 같이 증인을 무더기로 국장감에 출석시키는 상황 등이 어렵게 됐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형태의 국감의 축소가 불가피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국감 경험이 전무한 초선 의원들은 특히 현장과의 소통에서 애로사항을 토로했다.
민주당 한 초선의원은 “국감 자료 제출시 의견교환, 자문 등의 과정에서 대면 불가라는 제동이 걸리니 답답하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지 못하는 부분은 비대면 소통 방식으로 대체해야 하는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국감 본연의 기능을 온전히 살리는 묘수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 초선의원은 “예전처럼 증인을 무더기로 불러 국감장에 앉아있도록 하기는 어렵겠지만, 회의장에 들어오는 인원을 조절하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라며 “인원은 줄어들겠지만 기본 틀은 깨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