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한국뉴욕주립대-카이스트, 사물인터넷 공동연구 성과

초저전력, 저비용 기술 '무전원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개발

 한국뉴욕주립대(SUNY Korea)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공동 연구팀이 후방산란(Backscattering) 기술을 이용한 ‘무전원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기술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공동연구팀에는 뉴욕대 컴퓨터과학과 류지훈 교수와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김성민 교수, 이융 교수, 정진환 박사가 참여했다. 후방산란 기술은 상용으로 널리 쓰이는 RFID칩의 통신원리로서 디바이스가 무선신호를 직접 만들어내지 않고 공기 중에 존재하는 WiFi 또는 LTE 신호를 신호전달 매체로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통신과 디바이스가 결합하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하기 위해 배터리를 각각 충전하고 사물인터넷을 구현했으나 이 기술은 무선신호를 생성하는데 전력을 소모하지 않아 초저전력, 저비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사물인터넷 무선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공기중변조 하도록 설계했고, 값비싸고 전력소모량이 큰 기존의 사물인터넷의 인터넷 연결제약을 무전원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로 극복했다.

 

따라서 무전원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이용하면 사물인터넷 기기를 인터넷에 바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성의 범용성이 폭발적으로 증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류지훈 한국뉴욕주립대 교수는 “이번기술이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취약했던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사물인터넷 한계를 무전원기술로 극복하는 연구성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