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지역 학생들이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해 코로나19 감염 걱정 없이 원하는 시간에 공부할 수 있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반면, 단점은 집중력이 떨어지고 학습 중 인터넷 검색이나 SNS 등을 많이 하게 돼 학습효과가 떨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은 도교육청이 지난 6월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 20만85명을 포함, 학부모와 교사 등 모두 66만21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분석했다고 13일 밝혔다.
고교생 응답자 중 31.7%는 온라인 수업의 장점으로 ‘원할 때 원하는 곳에서 학습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코로나19 감염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22.4%),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배우는 속도를 조절하거나 반보개서 학습할 수 있다’(17.7%), ‘시간을 여유있게 쓸 수 있다’(17.1%) 등의 순으로 꼽았다.
초·중학교 학생들도 비슷하게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점으로 고교생들은 ‘집중력이 떨어지고 인터넷 검색, SNS 등을 자주 한다’(22.8%)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동아리 활동이나 체험활동을 하지 못한다’(16.2%),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다’(11.7%), ‘수업 이후 과제(숙제)가 많다’(11.6%) 등 순으로 답했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의 실력 차이가 더 벌어진다’(11.3%), ‘설명 중심의 수업이 많아 학습 흥미가 떨어진다’(9.7%) 등 학력 격차나 학습 효과를 걱정하기도 했다.
이에 비해 초등학생들은 ‘친구들과 어울릴 시간이 줄어든다’(24.7%), ‘동아리 활동이나 체험 활동을 하지 못한다’(23.5%)를 가장 큰 고민이라고 답했다.
학부모들의 응답도 학생들과 비슷했다.
온라인 수업의 장점으로 ‘감염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자녀가 원하는 때 원하는 장소에서 학습할 수 있다’를 가장 많이 택했고, 단점으로는 ‘집중력이 떨어지고 인터넷 검색, SNS 등을 자주 한다’를 꼽았다.
한편, 교사들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보다는 교사가 직접 제작한 교육 영상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인식했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은 “올 1학기는 코로나19로 인한 비정상의 시기였고, 이런 상황에서 정책 당국과 구성원들은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며 “이런 경험을 더 나은 질서 창출을 위한 계기로 삼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 교원 역할 분담, 온라인 수업과 등교 수업 특성을 고려한 수업방식 연구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 경기신문 = 박한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