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경기도당이 국가균형발전특별위원회를 구성키로 함에 따라 경기도와 정면 대결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지역 정치권에서는 특별위원회 구성은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도내 지역정서 양분과 대권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손학규 경기지사의 힘 빼기 의도가 아니냐는 각종 설이 나돌고 있다.
6일 열린우리당 경기도당에 따르면 열린우리당 중앙당은 지난 5일 신행정수도건설 특별대책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16개 시?도당에 국가균형발전특별위원회를 구성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 경기도당은 오는 15일 지역 국회의원, 중앙위원, 전 지구당위원장, 도당 상무위원 등이 참석한 자리에서 ‘경기도당 사업보고회’를 열고 특별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특별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은 현재 도당위원장인 유시민의원(고양 덕양갑)이 맡고, 도내 국회의원은 물론 도지사 및 시장?군수, 도의원들로 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하지만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5일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해 “대책 없는 이전에 유감을 표명”한다며 반대입장을 거듭 밝혀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정치적 대결과 함께 지역정서가 양분될 공산이 커졌다.
도 고위 관계자는 “아직까지 열린우리당으로 부터 특별위원회 구성에 대한 어떠한 요청도 받은 바 없다”며 “당리당략에 따른 정치적 마찰은 물론 국민적 합의 없이 추진되는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정책적인 견해가 더욱 크게 불거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도내 정치권에서는 특별위원회 구성으로 지역정서가 양분되면서 대권에 나설 손 지사의 힘을 빼놓기 위한 전략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일각에서는 “도와 도의회가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해 성명서와 이전반대 결의대회에 참석하는 등 이미 반대입장을 넘어서 행동에 돌입한 상태”라며 “이 상황에서 특별위원회는 수도권 과밀해소에 대한 공감대 형성은 물론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여론을 분산시켜 손 지사의 대권행보를 막으려는 의도가 짙게 깔려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은 정치적 논쟁보다는 수도권의 과밀 해소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 친환경적인 산업, 물류, 주거 중심으로 발전을 꽤하는데 역점을 둔다는 입장이다.
열린우리당 경기도당 관계자는 “도나 의회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한나라당 소속 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원들이 특별위원회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위원회 구성과 역할이 달라질 것”이라며 “정치적 공방이나 정책적 대결보다는 수도권 과밀 해소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한편 한나라당 경기도당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수도이전 문제는 전문가의 논의와 다각적이고 객관적인 검증, 국민적 합의를 구하는 정당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도당 차원에서 가칭 ‘수도이전문제 특별위원회’를 구성, 공청회는 물론 궐기대회와 규탄대회를 개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