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인천대 학생 논문, 관련 분야 최상위 저널에 게재 눈길

인천대 에너지화학공학과 김창수군

 

 인천대학교 학생의 논문이 관련 분야 최상위 논문에 게재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인천대는 이 학교 에너지화학공학과 김창수 학부생의 논문이 막분리 학계 최상위 저널 중 하나인 ‘막과학 저널(Journal of Membrane Science)’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특히 연구 업적의 탁월성을 바탕으로 ‘이달의 편집장 추천’ 논문으로도 선정됐다.

 

김창수 학생이 1저자로 참여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유기용매 나노분리막 성능 예측’ 연구는 인천대 김지용·김정 교수, 사우디아라비아 KAUST대학, 영국 맨체스터대학과 공동으로 이뤄졌다.

 

유기용매 나노분리막 기술은 기존의 석유화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증류기반 분리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혁신기술이었으나 막 제작의 복잡성 및 운전 상의 문제로 실제 산업 현장에 널리 사용되지 못해왔다.

 

연구진은 이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 기존의 많은 유기용매 나노 분리막 설계 변수 중 성능에 영향을 큰 핵심 설계 인자를 규명하고 기계학습을 이용해 성능 예측 정확도를 검증했다. 그 결과 6개의 설계 인자만으로 유기용매 나노 분리막 성능을 98% 이상의 정확도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김지용 교수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막분리 관련 소재 개발 실험의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석유 정밀화학, 환경정화 등 유기용매 나노분리막의 산업적 활용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창수 학생은 “물질 전달, 유체역학 등 전공 수업과 빅데이터 등 인공지능 관련 수업에서 배웠던 것을 융합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은 것 같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단순히 유기용매 나노분리막의 성능 예측이 아닌 최적의 막 제조 기술을 제안하는 연구로 확장하고 싶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