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역당국이 국민의 60%에 달하는 물량을 목표로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설령 선입금을 포기하는 한이 있더라도 충분하고 되도록 많은 양을 확보해 구매할 것”이라며 밝혔다.
권 부본부장은 “최근 특정 기업 백신의 효과성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백신 개발과 확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아직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우선 연내 전체 인구의 60%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원활하게 잘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현재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될 경우 신속하게 확보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다지는 동시에 글로벌 제약사와 개별적으로도 계약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백신 공동 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백신 1000만 명 분을, 글로벌기업과는 개별 협상을 통해 2000만 명 분을 각각 확보할 계획이다.
권 부본부장은 코로나19 백신은 국민 건강, 안전을 위한 것인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술적인 면에서 보자면 최우선으로 백신 안전성, 효과성에 대한 면밀한 평가는 기본”이라며 “백신 도이보가 접종은 시행의 편리성, 적시에 이를 대량생산해 공급할 수 있는 생산·유통·운송체계 등 종합적으로 모든 면이 사전에 검토되고 준비돼야 한다”며 부연했다.
국내 코로나19 유행 상황 역시 백신 확보 및 도입 과정에서 중요시하는 요소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권 부본부장은 “물량확보 노력과는 별개로 백신 안전성, 특히 접종 후 부작용 등을 고려해 앞서가는 다른 나라의 접종 상황까지 보고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사태에 침착하게 대비하면서 예방접종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현 시점에서 개별 기업과 논의 중인 사항들은 협상 과정에서 그리고 전략상 자세히 설명하기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 경기신문 = 김기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