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공원으로 결정된 지 20년이 지날 때까지 미조성 상태로 있던 48개 공원을 ‘내 집 앞 푸른 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시동을 걸었다. 2024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19일 장기미집행공원 중 하나인 ‘무주골공원’ 기공식을 개최했다.
문학산 동 측 끝자락에 위치한 무주골공원은 1944년 처음 공원으로 결정된 뒤 방치돼오다 개발행위특례사업 대상공원으로 선정됐다. 민간이 총 477억 원을 투입, 장미 100만 송이를 주제로 특성화시키는 공원으로 2022년 사업이 완료된다.
기공식에는 박남춘 시장과 임동주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장, 김희철·김국환·김준식·서정호 시의원, 고남석 연수구청장, 김성해 연수구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다.
시는 지난해부터 공원으로 결정된 지 20년이 지날 때까지 미조성 상태로 관리돼온 무주골공원을 포함한 48개 공원 6.18㎢ 중 국·공유지 9곳을 제외한 39개 공원을 대상으로 민간투자 1956억 원을 포함, 총 7597억 원을 투입해 2024년까지 장기미집행공원 실효방지사업을 역점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6월까지 실시계획인가 등 행정절차 이행 완료를 통해 실효를 방지했고 이날 기공식을 시작으로 시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장기미집행공원 전체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과 공원 조성에 착수할 예정이다.
박남춘 시장은 “장기미집행공원 조성으로 내후년이 되면 시민 1인당 공원 면적이 12.9㎡로 늘어나면서 세종을 제외한 7개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넓어지게 된다”며 ”그동안 착실히 준비해온 만큼 잘 마무리해 모든 시민께 ‘내 집 앞 푸른 공원’을 안겨 드리는 날까지 더욱 꼼꼼히 살피고 챙기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장기미집행공원이 획일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공원으로 조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재특화와 공간특화로 구분해 각 공원별로 다양한 특성을 갖추도록 할 방침이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