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기업 10곳 중 3곳이 지방이전 의사를 밝혀 산업기반 약화에 따른 공동화가 크게 우려되고 있다.
특히 기업이전 부지를 주거?상업용도로 전환하기보다 공원 등의 시민편익시설이나 아파트형 공장 등을 입지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경기개발연구원이 최근 도내 100인 이상 131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장이전 관련’ 설문조사 결과 전체 32.1%인 42개 기업이 앞으로 5년 내에 현 공장을 이전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이전지역으로는 ‘수도권내’ 37.2%, ‘해외’ 34.9%로 가장 많았으며, ‘지방’ 23.3%, ‘지방이전 검토 중’ 4.7%로 28% 가량이 지방이전계획을 세워놓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내 이전 희망 기업들은 지방의 인력수급 어려움과 물류비 가중을, 해외이전 기업들은 각종 규제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기업이전 이유를 보면 ‘부지협소’가 45%, ‘수도권규제’ 22%, 관련업종 집적 11%, 기타 22%로 도내 배정된 832만㎡의 공장총량이 턱없이 부족해 공장설립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해외이전 기업들의 37%는 ‘수도권규제’를 이전사유로 꼽아 정부의 지방이전 정책이 자칫 해외이전을 부추기는 역효과를 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가 지난 5월에 375개 영세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37.9%가 이전하겠다고 대답했다.
경기개발연구원 문미성 연구위원은 “결국 수도권 입지규제의 불합리성에 대한 기업인의 반감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며 “국가균형발전에 따른 기업이전과 동시에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각종 규제 철폐나 완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가 기업과 공공기관 이전부지에 대해 ‘도시관리계획’을 변경, 주택을 공급키로 방침을 정해 수도권 과밀화만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90년대 한일합섬, 대한방직, 만도기계, 동아제약 등 18개 대기업(종업원 9천589명)이 지방으로 이전했으며 이 중 14개 부지에 아파트 2만4천941세대가 건립, 8만2천305명의 인구가 유입된 바 있다.
도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기업이나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추진하고 있지만 자칫 지방이전보다 해외이전의 역효과를 낼 수 있다”며 “중요한 것은 이전지역에 주택공급보다는 하기보다 정보기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역 지식기반산업을 유치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