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늘어나는 '황혼이혼' 전체 34.7%...50대 가장 많아

 

전체 이혼건수와 조이혼율은 줄어드는 반면 중·고령자의 이혼인 ‘황혼이혼’은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지속 기간이 20년 이상인 중·고령 부부의 황혼이혼 건수는 전체 이혼 건수 중 34.7%(3만8446건)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21년 전인 1999년 1만5816건이던 것과 비교해 2.4배에 달한다.

 

황혼이혼의 증가세는 사회적 인식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통계청 조사에서 황혼이혼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 ‘경우에 따라 이혼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다’고 답한 50대 비율은 2008년 23.3%에서 올해 49.5%로 두 배 넘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60대 이상 연령대에서 같은 응답을 한 비율도 동기간 12.9%에서 32.5%로 늘어났다.

 

 

여기에 이혼 연령대가 높아진 것도 영향을 끼쳤다. 성별 평균 이혼연령의 경우 1990년 남성 36.8세, 여성 32.7세이던 수치는 지난해 기준 남성 48.7세, 여성 45.3세로 높아졌다.

 

이와 함께 미성년 자녀가 없는 부부의 이혼 건수도 1999년 3만3579건으로 전체 이혼 중 28.6%이던 비율이 지난해에는 5만9356건(54.8%)으로 크게 늘었다.

 

이혼건수 구성비율의 경우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두드러진 모습을 보였다. 전체 이혼건수 구성비율에서 1990년 남성 7.4%, 여성 3.1%이던 비율은 지난해 남성 44.0%, 여성 32.9%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이혼 건수 연령대의 집중 또한 지난해 기준 50~60대에 모여있으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혼건수는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