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17일 윤석열 검찰총장의 정직 2개월 징계와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사의표명에도 공방을 이어갔다.
민주당은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후 사의를 표명한 추미애 법무부 장관에 대해 ‘결단’이라고 높이 평가한 반면, 윤석열 총장에 대해서는 거센 비판을 쏟아내며 자진사퇴를 압박했다. 국민의힘은 대통령의 책임론을 부각하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렸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검찰 개혁에 대해서 강력히 추진해줬는데, (추 장관의) 결단에 경의를 표한다"며 "검찰도 새롭게 출발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5선 중진 안민석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 총장의 법적 대응에 대해 "윤 총장이 스스로 거취를 정할 것 같지 않고, 대통령과 한판 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 같다"며 "검찰 개혁을 바라는 국민과 대통령을 이길 수 없을 것이다. 윤 총장은 결국 자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익표 의원도 KBS 라디오에서 “(윤 총장) 본인이 또 소송을 걸어 어떻게 하겠다는 것은 매우 적절하지 않다"며 "징계 자체를 수용하면서 스스로의 거취도 한번 판단해볼 시기"라고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김기식 전 의원도 KBS 라디오에 나와 공직자의 도리를 언급하며 "윤 총장이 물러난 뒤에도 징계의 부당함을 다툴 수 있다"고 주장, 자진 사퇴를 종용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문 대통령을 겨냥한 비판을 이어갔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법치는 셧다운 되고 민주주의는 사망선고를 받았다는 지적이 있다"며 "국정 비정상 중심엔 대통령과 집권 세력이 있다는 것이 국민 공통 생각"이라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민주당과 집권 세력은 국정농단 넘는 국정 파괴를 당장 중단할 것을 국민의 이름으로 엄중히 촉구한다"며 "집권당으로서 상식 있는 정치 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망나니 역할을 아주 충실히 수행했다"며 추미애 장관을 비판하면서 윤석열 총장을 향해선 "단순 피해자가 아니라 한국 헌법과 법치를 수호할 최전선이 되어야 한다"고 요청했다.
주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을 향해서는 "거룩하게 손에 피 묻히지 않고 윤 총장을 잘 제압했다. 법적책임으로부터 멀어지고, 퇴임 이후 안전도 보장받게 된 것 축하드린다"고 비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