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병석 국회의장은 6일 “국민의 안전도, 민생도 국민통합이 바탕이 돼야 한다”며 국회의장 직속 자문기구로 ‘국민통합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박 의장은 이날 신축년(辛丑年) 새해를 맞아 열린 신년 화상 기자간담회 모두 발언에서 “갈라진 국민여론을 녹여내는 국민통합의 용광로 역할을 제시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짙게 배인 진영논리를 걷어내고 이념의 과잉을 털어내야 한다"며 "지금은 국가 위기상황이다. 국민은 타협의 정치 복원을 요구하고 있다. 국민 먼저, 국익 먼저 살피는 정치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국민통합을 언급한 배경에 대해 박 의장은 "촛불정신에 따라 민주적으로 탄생한 정부의 정통성을 부인하는가 하면 상대를 타도의 대상으로 보기도 한다"며 "국민통합을 이룰 때에만 앞으로 전진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진정한 국민 통합을 위해서는 개헌을 통한 권력구조 개편과 득표율에 비례하는 의석수를 확보하도록 하는 선거제도 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의장은 “권력구조를 개편해 분점을 이룰 때 우리 사회 갈등을 줄일 수 있다. 한 표라도 더 많으면 모든 것을 가져가는 제도로는 소수 여론을 반영하기 어렵다”며 “진정한 국민통합을 가져올 제도는 개헌과 선거제 개편”이라고 말했다.
최근 논란이 된 전직 대통령 사면 문제에 대해서는 “헌법상 대통령 고유 권한인 사면권에 대해 입법부의 장이 공개적인 입장을 말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13일 박 의장이 국회 본회의에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종결표결에 참여한 것과 관련해선 "헌법과 법률에는 의장의 표결권뿐 아니라 토론권까지 규정, 보장하고 있다"며 "역대 모든 국회의장은 그 표결에 참여했다"고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