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 보안검색요원의 직접 고용은 정부 압력에 의한 졸속 전환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 노조가 지난 4~5일 조합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인국공 사태 졸속 추진'에 대한 응답이 9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원들은 66%가 '정부 압력에 따른 졸속 정책 결정'을 꼽았다. 이어 '내부 직원 의견 미수렴 등 소통 부재' 21%, '청년 공정성 문제 야기' 9%, '현원보다 많은 인원 채용에 따른 반발' 4% 순이었다.
정규직 전환 문제에 대해서도 '원점 재검토' 53%, '외부 개입 없는 노사 간 충분한 협의' 43%, 기타 의견 3%, '보안검색 청원경찰 직접고용을 추진' 1%로 집계됐다.
이는 새로 선임되는 신임 사장에 대해 조합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정규직 전환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노조와의 협의를 통해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정하고 투명한 정규직 전환을 추진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로 보인다.
지난해 6월 인천공항공사는 보안검색요원 1902명을 청원경찰로 직고용 전환을 전격 추진했으나 노조는 노사 합의를 위반한 행위라며 사 측을 맹비난하며 '인국공'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 가운데 결국 구본환 사장의 퇴진으로 이어졌다.
장기호 노조위원장은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일방적인 졸속 정규직 전환 발표 후 조직 내 혼란이 거듭되고 있다"며 “인국공 사태뿐만 아니라 최근 발생한 보안사고,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경영 악화에 대응해야 할 엄중한 시기에 신임 사장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