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이 유행했을 때 사회서비스를 계속 유지해 돌봄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하려면 공공과 민간 사회복지시설 간 협력체계 구축과 통합정보전달 방안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10일 연구보고서 ‘인천시 사회복지시설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연구’를 발표하고 신속한 정보전달과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조직 신설을 제안했다.
컨트롤타워는 공공-민간시설 간 협력 조직으로 감염병 유행 시 사회복지 이해관계자가 함께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하는 공식기구다. 양방향 의사소통 채널을 통해 통합정보전달체계를 구축하고 사회복지 현장뿐만 아니라 시민에게 감염병 관련 명확한 지침과 정보를 빠르게 전달한다.
모니터링, 법·제도, 예산, 교육 등 4가지 항목으로 나눠 감염병 대응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장기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종사자와 이용자, 방문자를 대상으로 하는 감염 예방 모니터링 및 시설 방역 모니터링 등 두 가지로 구분해 시설 특성별 차이를 반영한 시설 입장 프로그램과 식사·식당 이용, 기관 차량 운행 등 4가지 측면에서 모니터링 체계와 구체적인 매뉴얼 제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예산은 유연한 사용을 전제로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감염병 유행 시 시설장 재량 범위를 정해 예산전용, 지출 결정 권한을 허용해 비대면 서비스 프로그램 등 새로운 사업 발굴과 감염 물품 구비, 전문방역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지역사회 시민을 대상으로 폭넓은 감염병 예방교육이 필요하다는 점과 시설 및 종사자 지원 내용을 반영한 사회복지시설 감염병 관리방안 내용도 담겼다.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감염병 유행 시기 사회복지시설과 종사자에게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재정지원, 사업변경·예산전용 허용, 종사자 위험근무 보호·보상 등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또 시설 운영 중단보다 시설 유형에 맞는 돌봄서비스 개발을 우선해야 하며 종사자들의 심리·정서적 지원 프로그램과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교육자료 제작, 방역 장비, 물품 등 물리적인 지원, 감염관리 전문인력, 대체인력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감염병 관련 법령과 자치단체 조례, 중앙정부, 수도권 시·도의 코로나19 대응체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이뤄졌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