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12일 경북 경주 월성원전 지하수에서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가 검출된 것과 관련해 ”국회 차원의 조사 필요성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 차원에서 월성원전의 방사능 오염 규모와 원인, 관리 부실 여부를 전면 조사할 것을 주문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한수원은 외부로의 유출이 없었고 삼중수소 농도가 주민 건강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미미한 수준이라는 입장"이라면서도 "삼중수소는 생체 세포와 결합해 유전자 이상 유발할 수 있는 방사성 물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삼중수소 배출 경로와 무관한 지하수 등에서 삼중수소가 검출된 것은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표는 또 "지역 주민들도 삼중수소에 지속적으로 누출돼왔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며 "2017년 한빛 4호기 콘크리트 방호벽에 구멍이 발견된 것처럼 월성원전 관리체계에도 허점이 있는 건 아닌지 정밀하게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낙연 민주당 대표도 전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지하수에서 방사성물질이 검출됐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적”이라며 국민의힘과 감사원을 겨냥해 “일부의 불량원전 재가동 연장을 주장은 참으로 무책임한 정쟁이며 그동안 무엇을 감사했는지 의아스럽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수원 등에 따르면 2019년 4월 월성원전 3호기 터빈건물 하부 지하수 배수로 맨홀에 고인물에서 삼중수소가 리터당 71만3천㏃(베크렐)가 나왔다. 이는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배출관리기준 4만Bq의 17.8배에 달하는 수치로, 탈핵단체 등은 월성원전 구역 내 지하수가 방사능으로 오염됐고 주변 지역으로 확산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한수원은 월성원전 부지 내 삼중수소 검출은 기준치 이하여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원인을 제대로 규명하지 않았다"며 민관합동 조사를 촉구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