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오는 4일 국회 대정부질문을 앞두고 정부와 여당에 대한 성폭행 프레임 씌우기에 집중하라는 등의 지침을 내린 것으로 드러나자 여권이 총공세에 나섰다.
앞서 조수진 의원의 '후궁 막말'이나 김종인 비대위원장의 '북 원전 지원은 이적 행위' 등의 발언에 이은 또 한번의 논란이 불거지면서 여야의 날선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야당이 정책 토론을 해도 모자랄 시간에 정쟁의 프레임을 덧씌우겠다는 가이드라인을 자당 의원들에게 배포했다"라며 "코로나로 근심에 빠진 국민을 위한 질의도 아닌 오로지 정쟁과 분열의 프레임으로 가득하다"라고 비판했다.
정부를 대표해 대정부질문에 출석하는 정 총리는 "국회 대정부 질문은 국회와 행정부가 국정운영을 조율하고 정책을 의논하는 소중한 시간"이라며 "정말 믿고 싶지 않다. 차라리 이 보도가 가짜뉴스였으면 좋겠다"고도 말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참담하다”, “보수혁신 실패의 백미를 장식할 것”이라며 비판을 쏟아냈다.
김종민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이 반기업·반시장경제·반법치주의·성폭행 프레임을 씌우라고 하고 경제무능·도덕이중성·북한퍼주기 이미지를 각인시키라고 했다고 한다.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의 답변을 허용하지 말고 즉시 중지요청을 하라는 지침도 충격적"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 설명도 필요 없고 내가 필요한 프레임만 씌우면 그만이란 얘기다"라며 "국회를 진흙탕 전쟁의 장으로 만들겠다는 국민의힘 지도부의 전략이 참담하다"라고 꼬집었다.
신동근 최고위원도 "국민의힘의 대정부질문 가이드라인은 시대착오적이고 고리타분하다. 보수 혁신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드러냈다"라며 비판했다.
신 최고위원은 "1월만 해도 국민의힘은 보궐선거 승리를 자축하더니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의)'후궁' 발언 막말이나 (김종인 위원장의)'이적 행위' 용어 등으로 역풍을 맞고 있다"라며 "이번 가이드라인은 보수혁신 실패의 백미를 장식할 것"이라고 힐난했다.
차기 당권주자들도 직접 비판에 가세했다.
우원식 의원(서울 노원을)은 "이 시국에 '성폭행' 프레임이라니 가당키나 하나. 코로나로 고통 받는 국민 절규가 들리지 않나. 대한민국을 다시 냉전의 수렁으로 빠뜨릴 생각이냐"라고 비난했고, 송영길 의원(인천 계양을)도 “한국 제1 야당의 전략회의가 수준 이하라 놀랍다. 덮어씌우기식(프레임) 정치는 국민들에게 짐만 될 뿐”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지난 2일 국민의힘 원내행정국은 ‘대정부질문 사전전략회의 관련’이라는 제목의 문건을 자당 의원들에게 배포했다.
이 문건에는 “질문자 4인은 질문 시작부터 결론까지 일관된 프레임 씌우기 전략을 구사하라”며 “반기업, 반시장경제, 반법치주의, 성폭행 프레임 씌우기에 집중이 필요하다”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지속적인 용어 반복과 이슈 재생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경제무능, 도덕이중성, 북한퍼주기 이미지 각인'이라는 내용 등이 적혀있어 파문이 일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