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5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와 관련해 "서울·부산시장 후보 등 재보선에 출마한 모든 후보자와 그 직계가족에 대한 부동산 (거래내역)도 전수조사할 것을 국민의힘에 제안한다"고 말했다.
김 직무대행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지난주 국회의원 300인에 대한 전수조사를 제안했더니 국민의힘이 이런저런 조건을 갖다 붙이며 사실상 거부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참에 국회의원뿐 아니라 자치단체장, 광역시도의원, 기초의원까지 모두 조사하자"며 "민주당의 선출직 공직자가 국민의힘에 비해서 훨씬 많다. 민주당은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부동산 투기 근절 차원에서 모든 선출직 공직자의 전수조사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금 국회가 할 일은 공직자 투기와 부패를 근절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민주당은 앞으로 부동산 투기 혐의가 있는 사람은 선출직 출마가 불가능하도록 후보 공천 검증시스템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야권이 검찰의 LH 직접수사를 촉구하는 가운데 민주당이 특검을 주장한 배경에 대해선 "우리는 합동수사본부의 수사의지와 능력을 신뢰한다. 하지만 국민의힘에서 반복해서 수사 신뢰 문제를 제기해서 그러면 특검을 하자고 제안한 것"이라며 "현행법을 무시한 야당의 검찰 직접수사 주장은 억지"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지금 선거에 유리한 지형이 확보됐으니 이 상황을 즐겨보겠다고 밖에 안 보여진다"며 "특검은 여야가 합의만 하면 1달 이내 구성하고 수사 개시할 수 있다. 과거 특검이 논의되면 수사기관이 더 적극적으로 수사했던 전례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문재인 대통령의 양산 사저 관련 SNS글을 비판한 것에 대해서는 "금도를 넘었다", “황당무계한 일이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 대행은 "아무리 선거가 급해도 현직 대통령의 사저 문제를 정쟁 한복판에 끌어들여 비료비와 농약비 내역을 공개하라는 것은 정말 좀스럽지 않나”며 "퇴임 후 대통령께서 귀농해서 여생을 보내시겠다고 하는 것이 정쟁의 도구로 활용할 문제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대행은 “국가의 품격을 생각해달라”며 “대통령 사저를 부동산 투기로 연결시키려는 야당의 저급한 정치공세는 나가도 너무 많이 나갔다”고 비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