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시는 7일 처인구청 일대 상권 활성화와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김량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 제안 검토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약 20만 3179㎡ 규모의 김량지구는 시가지 정비와 지역 활성화를 목표로 지난 2006년 6월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됐다.
그러나 도시형생활주택 이외의 공동주택은 들어설 수 없어 노후 주택 정비율이 낮고, 인근 역북지구 등의 새로운 상권이 형성되면서 지역 경쟁력도 크게 떨어졌다.
시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그동안 기준을 완화해 최고 39층 이하의 주상복합건물을 허용한다.
다만 과밀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용적률을 800%에서 700%로 낮췄다.
용적률은 공원, 도로 등의 의무부담 시설을 확보하는 경우 500% 이하를 적용하고 전주 지중화, 개방 보행통로 확보 등에 더해 공공기여가 인정될 경우 최대 700%까지 차등 적용된다.
또 소상공인 및 기존 상권 보호를 위해 주상복합건축물의 상가 등에는 교통유발시설, 대규모 판매시설, 주거환경 저해시설 등의 입지를 제한키로 했다.
이밖에도 걷기 좋은 거리를 만들 수 있도록 사업부지 내엔 상시 보행공간인 전면공지를 2~6m까지 확보하고, 인접 도로 등도 8~15m까지 확보하도록 규정했다. 세대당 3㎡ 이상의 공원 부지도 확보하도록 했다.
시 관계자는 “가이드라인 수립을 통해 처인구청 일대 구도심 정비에 민간 제안사업을 유도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계획적인 개발과 상권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신경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