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사의 부수조작 사건을 국정조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미 다수의 민주당 의원들이 ABC협회의 신문 유가 부수 조작 의혹과 관련해 고소한 데 이은 후속 조치여서 향후 몰고올 파장에 관심이 모아진다.
김남국 국회의원(더민주·안산단원을)은 1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언론사 부수조작 사건을 국정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공정과 정의'가 시대적 화두이다. 모두가 내로남불과 위선을 이야기 한다. 언론사 부수조작 사건을 국정조사해서 여야가 내로남불을 청산하고, 정말 우리 사회의 정의가 살아 있다는 것을 보여 줍시다!!!"라고 했다.
김 의원은 이에 그치지 않고 잠시 뒤 또 다른 글을 올려 차기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의견을 묻기도 했다. 김 의원은 "공정과 사회 정의를 외치는 윤석열씨!!! 증거가 차고 넘치는 언론사 부수조작 사건 고발에 대해서는 뭐라고 말하실지 궁금합니다. 대답 좀 해보시죠??"라고 했다.
윤 전 총장은 서울중앙지검장 시절 유력 일간지 사주를 만났던 의혹으로 지난해 말 여당 의원들로부터 '정치검찰'이라는 비난을 들으며 총장 사퇴압박을 받았었다.
김 의원은 이번 국정조사 주장에 앞서 지난달 18일 김승원 의원 등 28명의 여당국회의원과 함께 조선일보와 한국ABC협회 및 그 임직원 등에 대해 사기, 업무방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및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경찰청에 고소·고발장을 접수했다.
당시 고소·고발장 접수에는 김남국·김승원·민형배·황운하 의원 등이 동행했다.
실제 포장도 뜯지 않은 새 신문이 유통되지도 않은 채 폐휴지로 팔려나가는 현장도 확인됐다.
김승원 의원실 보좌진이 시민 제보를 받고 지난 달 18일 확인한 경기도 광명시의 한 폐기물 처리장 야적장 촬영 영상에는, 새 신문들이 어디론가 팔려나가기 위해 쌓여 있는 모습이 나온다.
보좌진이 신문들이 어디로 가느냐는 질문에 현장 노동자들이 "수출도 가고. 계란판 공장도 가고"라는 답변이 나온다.
한편 한국언론재단에서 책정한 유료부수 60만부 이상 A군은 광고단가를 최대 23만원 책정(1면1단1cm기준)하고, 5~20만 부 이하 신문사는 B군으로 광고단가를 최대 15만원으로 책정한다.
문화체육관광부 사무감사 결과 밝혀진 조선일보의 성실률(49.79%)을 적용하면, 조선일보는 중앙지 B군에 속하게 되는데, 신문의 발행·유가부수를 조사해 발표하는 한국 ABC의 '2020 한국ABC 신문부수 공사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도 기준 조선일보는 116만부, 동아일보는 73만부, 중앙일보는 67만부로 각각 조사돼 A군 적용을 받았다.
[ 경기신문 = 유진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