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6·11 전당대회가 보름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경선룰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갈등이 격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본경선 여론조사의 역선택 방지 문항 적용 여부를 놓고 결론을 내지 못한 상황에서 당원 투표의 청년·호남 비중까지 논란이 되는 등 잡음이 커지고 있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황보승희 의원 등 12명은 전날(26일) ‘청년‧호남 배제’ 논란에 대한 대응을 논의하고자 원내지도부에 긴급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했다.
요구서에는 황보 의원 외에 하태경(3선), 유경준·태영호·신원식(이상 초선) 의원 등이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유경준 의원(초선·서울 강남병)은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경선룰은 청년과 호남을 철저히 배제하여 개혁과 혁신에 역행한다"며 공개적으로 반발했다.
통계청장을 지낸 유 의원에 따르면 당원 여론조사 조사대상 인원 1000명 중 호남지역에 배정된 인원은 0.8% 즉, 8명에 불과하다. 당원 선거인단 규모에 비례했다고 해도 수도권 29.6%, 대구·경북(TK) 30%, 부·울·경(PK) 30.7%, 충청권 10.1%, 강원·제주 4.2% 등과 비교해 격차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논란이 커지자 선관위는 컷오프 여론조사 시행 직전 호남 비율을 2%로 상향 조정한 것으로 전해졌지만 비판 여론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유 의원은 또 "당원 여론조사 연령별 비중을 '40대 이하'(27.4%) '50대'(30.6%) '60대이상'(42%) 이렇게 세 그룹으로 나눠서 할당한다고 한다"며 "이 비율대로라면 청년 몫은 어디에도 없다. 노인정당임을 인증하는 꼴이다. 금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모처럼 눈길을 준 청년들에게 예의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국민의힘 원내지도부는 28일 의총을 소집하고 경선룰을 전반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당내 일각의 반발에도 현행 룰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한바탕 격론이 예상된다.
‘역선택 방지’ 문항 추가 여부도 뇌관이다. 역선택 방지는 범여권 지지층이 일부러 '약체' 야당 후보를 지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여론조사에서 다른 정당 지지자를 배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역선택 방지 장치를 도입하면 당원 지지 기반이 탄탄한 일부 후보에게 유리해질 수 있다.
수도권·영남 출신 중진에게 유리하고, 높은 대중적 인지도에 비해 당내 기반이 취약한 신예 후보들에게 불리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같은 경선룰 갈등은 당대표 예비경선(컷오프) 결과 발표 이후 한층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 컷오프 결과에 나타난 당원 대 국민 비율 분석에 따라 각자 유리한 방향으로 요구가 분출할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