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정치권에서 2030세대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이 여느때보다 높다. 차기 대권에 나서는 후보들도 여야 할 것 없이 청년 지원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중차대한 과제인만큼 충분히 공감은 되지만, 과도하게 매몰돼 다른 부분을 둘러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선 국민의힘은 ‘이준석 신드롬’을 앞세워 청년들을 대변하겠다고 강조하고 있고, 더불어민주당도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겠다며 간담회 등을 진행했다.
청와대도 정치권에 부는 청년 바람에 동참해 청년비서관에 96년생 박성민 민주당 전 최고위원을 앉히는 등 청년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행보를 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모습에 일각에서는 특정 세대에 선거가 매몰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정치권이 지나치게 청년에만 국한돼서 보니까 국가가 전체적으로 고민해야 할 부분을 놓치는 부분들이 있다”며 “국민을 골고루 쳐다보는 청사진과 비전을 가지고 선거를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역대 선거에서 캐스팅 보트를 쥐었던 세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16대 대통령선거부터 살펴보면 당시 노무현 후보는 KBS 미디어리서치 출구조사에서 20대와 30대에게 각각 52.1%와 59.3%라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지만, 개표 결과 각각 48.9% 대 46.5%의 지지를 받았다.
당시 2030 세대의 유권자들이 진보, 50대 이상은 보수라는 구도가 형성되면서 진보와 보수가 섞여 있던 40대가 캐스팅보트 역할을 담당했다. 실제 개표 결과도 40대에서는 48.0%와 47.8%로 총 개표 결과와 비슷한 값이었다.
18대 대통령 선거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당시 문재인 후보는 방송3사 출구조사에서 20대 65.8%, 30대의 66.5%가 표를 몰아주며 2030세대에서 박근혜 후보보다 2배 높은 지지도를 확인했지만, 총 개표 결과에서는 48.0%의 지지율을 보이며 51.6%의 지지율을 보인 박근혜 후보에게 결국 패배하고 말았다.
당시 5060세대가 박근혜 후보에게 6~70%에 가까운 표를 몰아주며 총 투표 결과를 뒤집었던 것이다.
즉, 민주진보세력이 분열하며 자멸했던 17대 대선과 국정농단 사건으로 인해 보수세력이 자멸했던 19대 대선을 제외하고는 2030세대의 선택은 선거에서 큰 영향을 발휘하지 못했던 것이다.
2030세대의 선택에 배반하는 결과가 나온 이유로 손꼽히는 것은 저조한 투표율이다.
16대 대선 이후로 19대까지 4차례의 선거에서 20대와 30대의 투표율은 19대를 제외하고 늘 하위권을 기록했다.
특히 17대 대선에서 20대는 42.1%, 30대는 45.5%로 저조한 투표율을 보이며 총 투표율에서도 역대 대선 중 가장 저조한 투표율이란 오명을 견인했다.
16대 대선에서는 20대와 30대 유권자 수가 48.3%로 전체 유권자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이었음에도 전체 연령대 중에서 가장 낮은 47.2%와 55.1%의 투표율을 기록하며 2030세대가 지지했던 노무현 후보에게 최종 개표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실어주지 못했다.
반면 이번 대선만큼은 이전의 선거와는 다를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2030세대가 정권에 대한 불만이 많았을 때가 흔치 않다”며 “역대 대선에서는 보기 드물게 (20대 대선에서는) 2030 세대의 높은 투표율과 큰 영향력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청년 정책에 집중하는 정치권에 대해서는 “4050세대는 민주당, 60대 이상은 국민의힘 지지자가 많은 반면 2030은 이 틀을 거부하는 성향이 있다”면서 “2030세대에게 각별한 공을 들이지 않으면 지지를 견인하기 어렵고 이들 지지율을 놓치면 선거에서 이기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 경기신문 = 박환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