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가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수도권 학원과 식당 그리고 유흥업소 등 7대 취약분야를 대상으로 정부 합동 특별방역점검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행안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수도권 특별방역점검회의'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정부합독 특별방역 점검 및 방역강화 지원대책을 내놨다.
정부합동 특별방역점검단은 5개 중앙부처, 지자체, 경찰이 참여하며 기존 28개 팀, 64명을 118개 팀, 590명으로 확대해 운영한다. 특별방역점검 대상지역은 수도권 59개 시·군·구 지역이며, 세부적으로 서울 25개, 경기 26개, 인천 8개 지역이다.
점검 분야는 집단감염이 발생한 취약분야 학원·교습소, 실내체육시설, 종교시설, 노래연습장, 목욕장숙박시설, 유흥시설, 식당·카페 등 7대 취약분야다.
1회성 표본 점검이 아닌 일정 기간을 정해 해당 시설에 대해 집중적으로 전수 점검을 실시한다.
행안부는 특별점검 대상 7대 분야 이외의 감염 취약 사업장 등에 대해서는 24개 소관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참여해 점검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방역 점검의 이행력을 높이기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들도 마련했다.
특히 이달 8일부터는 감염병예방법시행규칙이 시행돼 영업시간 미준수 등 방역수칙을 위반하는 사업주에게 경고 없이 바로 영업정지 10일 처분을 내린다.
또 수도권 방역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임시선별검사소 진단검사 역량 강화, 방역인력 확충, 지자체 자율접종 실시 등을 추진한다.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임시선별검사소 32곳을 추가 설치하고, 운영시간도 연장하는 한편 신속한 임시선별검사소 설치를 위해 특별교부세를 교부한다.
감염병 대응 전문인력을 신속하게 확보하기 위해 지방공무원 채용 일정도 대폭 단축시킬 계획이다.
지자체 자율 접종은 고위험 직군의 접종을 위해 1차로 서울, 경기에 한해 34만명에게 시행한다.
2차와 3차 물량 총 266만명분은 17개 시도에 인구 비례로 배정되며, 7월 말부터 순차적으로 접종을 진행한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