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임시국회는 17대 국회 첫 정기국회를 앞두고 열린다는 점에서 여야간의 힘겨루기가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국회는 23일부터 닷새간 열리는 이번 임시회에서 대법관.인권위원 임명동의안과 고구려사왜곡대책 특위 구성, 과학부총리 신설을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안 등 각종 현안을 처리한다는 데 이견이 없지만, 열린우리당에서 추진하는 기금관리기본법 및 국회법 개정안 등 일부 안건에 대해 한나라당이 반대하거나 유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연기금의 주식 및 부동산 투자를 허용하는 기금관리기본법 개정에 대해 "현 정권이 경제를 잘못해 놓고 주가를 띄워서 덮으려는 것이다. 정부가 운영하는 기금을 통해 상장회사 주식을 갖게 되면 거대한 국유경제가 된다. 자유시장체제에 안맞는다"(이한구 정책위의장)고 `절대 불가' 입장을 밝혔다.
반면 우리당 천정배 원내대표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요기반 확충과 연기금의 안정성 및 수익성을 제고하기 위해 연기금의 주식투자 제한을 없애야 한다"며 개정안 처리의 의지를 거듭 밝힌 상태다.
국회의원 체포동의안과 석방요구 결의안 표결시 기명투표를 통해 가부 여부를 공개하는 국회법 개정안도 핵심 쟁점이다.
우리당은 개정안 중 기명투표 부분만 별도로 분리해서라도 우선 처리하자는 입장인 데 반해 한나라당은 국회 개혁특위에서 이 문제를 포함해 국회 개혁방안을 전반적으로 심사한 뒤 정기국회 때 처리하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우리당 김영춘 원내수석부대표는 22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국회에 대한 불신 해소 차원에서 기명투표제는 우선 처리돼야 한다"며 "한나라당은 개혁특위에서 다루자고 하지만 국회 운영위에서도 해도 된다"고 각오를 밝혔다.
이에 대해 이한구 정책위의장은 "여론에는 솔깃하게 들리겠지만 공산당의 자아비판 개념이자 인간관계의 기본을 무시하는 것으로 공산주의 체제에서나 하는 짓"이라며 "특정당이 억울하게 특정 의원을 몰아내는 수단으로 변질돼 심각한 탄압사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당이 9월23일을 처리 시한으로 정한 친일진상규명특별법 개정안도 한나라당은 "특별법을 일단 시행해보고 개정하자"는 입장이어서 이번 임시회내 심의 과정에서부터 논란이 될 전망이다.
우리당은 이들 현안 처리를 위해 일단 한나라당에 협조를 구하되 통과가 어렵더라도 강행처리하지 않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8월 임시회가 정기국회로 가는 길목이고 열린우리당 이부영 의장 체제 출범을 맞아 여야 모두 내부 전열 정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점에서 폭로전과 상호 비방 등 격렬한 공방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회기중 야권이 여권내 차기 대권 주자들을 겨냥한 선친의 친일의혹을 폭로하는 등 대대적인 정체성 공세를 준비중이란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한구 정책위의장도 "우리 안테나에 포착된 몇 사람이 있지만 카드로 쓸 생각은 없다"며 "도덕성을 따져보면 우리쪽은 별로 꿀릴 게 없다. 족보 뒤지면 오히려 그쪽(우리당)에서 문제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