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은 서울대학교와 공군 항공우주전투발전단이 발주한 ‘국내 대형 민간항공기 활용 공중발사 가능성 분석 연구’ 과제연구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는 보잉747-400 기종 항공기를 활용한 공중발사체 개발을 위해 ▲기술적 수준 ▲주요 적용기술 ▲연간 운영비용 ▲개조방안 등을 분석한다. 나아가 상용화 방안까지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그 동안 한·미 미사일 협약으로 인해 공중에서 발사하는 형태의 발사체 개발이 불가능했지만 올해 5월부로 종료돼 공중발사체의 개발과 운용이 가능하게 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현재 나로우주센터에서 위성을 발사할 경우 일본과 대만 사이를 통과해야 하는 지리적 한계를 극복해 기상에 관계없이 언제든 다양한 궤도로 발사할 수 있다는데서 이번 연구에 기대하는 바가 크다.
뿐만 아니라 공중발사체의 경우 별도의 발사장 건설 및 유지를 위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 자체 발사대가 없는 다른 국가에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발사 수출'까지 가능하다.
이미 해외에서는 민간 항공기를 활용한 공중발사체를 운용하고 있으며, 미국 버진 오빗사가 개발한 공중발사체인 런처원이 올해 1월과 6월 잇따라 보잉747-400 기종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발사된 바 있다.
대한항공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소형위성 발사 수요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기상과 지리적 요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중발사체 개발이 필수적"이라며 "그 동안 축적된 항공기 체계종합, 나로호 총조립 역량 등 항공우주사업의 전문성을 접목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춘 공중발사체 개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