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1급 보안시설인 김포공항이 보안안전에 구멍이 뚫렸다.
테러에 대한 대비책이 날로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김포공항 보안 안전이 크게 허술한 것은 물론 항공안전 대책도 크게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열린우리당 주승용 의원은 26일 "인천국제공항철도(주)는 김포에서 인천공항으로 연결되는 지하철도를 건설하면서 관계기관의 승인도 받지 않고 공항구역 내 지하굴착공사를 하다 항공기 시운전장 주변 지반이 침하되는 등 소음저감시설 지주 기초대가 파손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 의원은 "인천국제공항철도측이 공항구역 지하철도 건설에 따른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이나 보안성 검토 등에 대한 협의절차가 끝나기도 전인 지난 2월 18일부터 4월 21일까지 2개월간 보안구역인 공항계류장 80m까지 땅굴을 파고 들어가 이같은 사태가 벌어졌다"고 주장했다.
주 의원은 "한국공항공사나 보안관계기관은 지하 굴착공사가 진행되는 상황을 전혀 모르고 있다가 굴착공사로 인한 지반침하와 일부 시설물 파손으로 인해 이같은 사실을 알게 됐다는 것은 보안관리가 얼마나 허술한가를 보여준 것"이라고 적시했다.
주 의원은 특히 "이 기간은 이라크 파병 문제 등으로 테러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된 탓에 관계기관 대책회의가 열리고 김포공항 등 주요시설물을 대상으로 한 테러대비 모의훈련이 잇달아 열리는 시점이어서 평소 철통같은 공항경비 테세를 강조해온 관계기관도 큰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주 의원은 "사업자 임의대로 보안구역 내에 땅굴을 팠다는 사실도 큰 문제지만 국가적 주요시설 관리가 이토록 허술했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다"며 "보안이나 안전 모두가 허점투성이로 드러난 김포공항에 대해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해 이같은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사업시행자가 관계기관의 승인을 받은 뒤, 공항공사로부터 공사시행계획 승인을 득한 후 공사를 했어야 했는 데 임의로 공사를 하는 바람에 땅굴을 파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불법 공사임은 알지만 뚜렷한 처벌규정이 없어 시공업체측에 시설물 보상 등을 요구해 놨다"고 말해 이같은 사실을 파악한 건설교통부나 한국공항공사가 업체 봐주기가 아니가 하는 의혹을 낳고 있다.
한편 김포공항은 국가주요시설 대 테러대비 14개국중에 들어있는 시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