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인천시교육청의 내부형 교장 공모제 비리 의혹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은 이날 “도성훈 교육감에게 최근 아주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다. 무자격 교장 공모제를 시행한 학교 4곳 중 3곳이 전교조 출신으로 파악됐다”며 “유감스러운 문제 유출 사태도 발생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전 정책보좌관 A씨가 전교조 인천지부의 간부로 지낸 점을 언급하면서 “전교조가 교육청을 장악한 이익공동체로 전락했다. 전교조 카르텔이 교육을 망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의힘 조경태‧정경희 의원의 질타도 이어졌다.
조 의원은 “교장 공모제로 전교조 출신들이 판을 치고 있다”며 “최근 5년 간 이뤄진 교장 공모제 임용 가운데 65.8%가 전교조 출신이다”고 꼬집었다.
정 의원도 “도 교육감과 함께 활동한 전 정책보좌관이 사건을 주도했다. 정황상 도 교육감이 몰랐을 리가 없다”며 “도 교육감이 재직하는 한 교장 공모제의 공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교장 공모제를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도 교육감은 “불미스러운 사안에 대해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면서도 “사전에 알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어 “재발 방지를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제도를 보완해 올바른 목적을 갖고 가야 할 문제지 이 제도를 하고 말고의 문제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앞서 도 교육감의 전 정책보좌관 A씨는 지난해 12월 교장 공모제 과정에서 출제 위원으로 참여해 사전에 전달받은 문항을 면접시험 문제로 낸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됐다.
검찰은 A씨와 교장 공모제에 지원한 교사 B씨 등 6명에게 6개월∼4년의 징역형을 각각 구형한 바 있다.
[ 경기신문 / 인천 = 조경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