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대졸 이상 비정규직 284만명, 역대 최다…비중도 35%로 최고

2030 청년층 비정규직 243만명…1년전보다 12만5천명 증가

대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280만명을 넘어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대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284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명(12.7%) 늘었다.

 

대졸 이상 비정규직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래 가장 많았고, 통계 작성 기준이 바뀐 2019년 이후와 비교해도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806만6천명) 가운데 대졸 이상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35.2%로 작년 동월(33.9%)보다 1.3%포인트 상승했다.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다.

 

다만 통계청은 2019년부터 기존에 포착되지 않던 기간제 근로자가 추가로 반영됐기 때문에 2018년 이전과 2019년 이후 통계를 비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성별로 보면 대졸 이상 비정규직 가운데 여성이 161만2천명(56.7%)으로 남성(122만9천명·43.3%)보다 많았다.

근로 형태별로는 한시적 근로자가 202만2천명(71.2%)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시적 근로자는 근로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는 기간제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비기간제 근로자를 포함한다.

 

이외 1주일에 36시간 미만 일하는 시간제 근로자가 100만5천명(35.4%), 파견·용역·일일 근로자와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포함하는 비전형 근로자가 55만7천명(19.6%)이었다.

 

대졸 이상 고학력자 가운데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낮은 기간제·시간제 근로자 등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창 일할 나이인 2030 청년층 비정규직도 늘었다. 올해 8월 기준으로 20대 비정규직은 141만4천명, 30대 비정규직은 101만6천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20~30대 비정규직은 총 243만명(30.1%)으로 1년 전보다 12만5천명 증가했다. 전체 비정규직 10명 중 3명은 2030이었던 셈이다.

 

이외 60세 이상(29.8%), 50대(20.7%), 40대(17.6%) 등 순이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