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산시가 지난 2013년 궐동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을 추진해 관심을 끌었다. 궐동 39-9번지 일대 8만5269㎡에 1602가구로 오산에서는 최대 규모다.
하지만 8년이 지난 현재도 낡은 저층 주거지로 남아있는 가구가 개발구역의 절반에 달한다. 금방이라도 건물들은 무너질 듯이 위태롭기만 하다. 옛 슬레이트 지붕까지 흉물로 남아 오산 도심권에서 찾아보기 힘든 광경을 자아내고 있다.
그간 궐동 재개발사업은 자치단체의 안일한 주택정책으로 인해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다. 10여 년전부터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시작됐다.
당시 재개발이 아닌 재건축을 추진했었고 추진위원회 승인까지 받았다. 그러나 경기도가 궐동 구역을 포함해 오산시 일대를 뉴타운지구로 지정하면서 기존에 추진했던 재건축사업은 중단됐다. 뉴타운 사업도 2011년 지구 지정이 해제되면서 백지화됐기 때문이다.

이처럼 뉴타운과 재개발 사업이 두 차례 무산되면서 지난해 11월 또 다시 궐동 새장터 어울터 화목마을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라는 명분 아래 빈집 정비를 포함한 이른바 '땜빵'식 개발을 하고 있다.
이곳 주민들은 이 사업이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담벼락과 대문 수리, 도색작업 등 단순방식으로 구도심을 개발한다는 자체가 '구태적인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다세대주택은 이번 사업 대상에 포함되지 않자 주민들은 "이게 무슨 재생사업이냐, 다세대주택 주민들은 시민도 아니냐"며 토로하고 있다. 그러는 동안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주민 체감 효과는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옛 궐동은 오산천이 둘러싸고 있는 천혜의 요지로 10분 거리에 수도권전철 1호선 오산대역과 오산역을 둔 역세권이지만, 이렇게 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는 이유로 시에서 재개발을 취소하면서 개발사업이 장기간 표류하는 동안 주택 노후화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불안감과 불만이 주민들 사이에서 고조되고 있던 지난 8일 주민들이 지역 재개발 의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추진위원회를 새롭게 출범시켰다.
‘오산시 궐동 27-5번지 일대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추진위원회’라는 이름으로 발족한 추진위원회는 오로지 주민들의 순수한 참여로 주택 재개발을 주도적으로 이끌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지난 8일 임원 10명으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는 궐동 27-5번지에 사무실을 열고 본격적인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나섰다.
추진위는 이날 주민총회를 개최해 새 집행부를 구성하고, ▲주민 의견을 가장 우선하는 개발 ▲주민이 결정하는 사업으로 진행 ▲대규모 주거단지 건설로 풍부한 유동 인구 등을 이용한 오산시 대표 랜드마크 주상복합단지로 조성 ▲투명하고 깨끗한 사업기반 마련을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궐동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추진준비위원회 정준태 위원장은 경기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주민들의 뜻을 반영하지 않고 시행사들이 폭리를 위한 사업 구조로 주민들에게 불이익만 가중시켰다”며 “낙후된 궐동지역을 오산시가 상징하는 새로운 주거·상업·문화 중심지로 만들어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집행부가 교체된 뒤에도 주민 참여도가 더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이곳 주민들과 맺은 친분과 신뢰가 재개발 속도를 더욱 빠르게 만들고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치면서 “무엇보다 주민들의 신뢰에 보답하는 추진위원회로서 믿을 수 있는 운영과 결실을 이끌어내기 위해 성실하게 업무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지명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