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드론을 동시에 띄워 항공기 동체를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대한항공은 16일 본사 격납고에서 우기홍 사장, 김용석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군집드론을 활용한 기체검사 솔루션’ 시연 행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드론을 이용한 항공기 동체 검사는 작업자가 최대 20m 높이에서 항공기 동체를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현재의 정비 형태를 완전 바꾼 것으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없애는 동시에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정비를 진행할 수 있어 해외 항공사에서 도입되고 있는 단계다.
대한항공이 약 1년 동안 개발한 이번 솔루션은 세계 최초로 2대 이상의 드론을 동시에 투입해 정비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운영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운영 프로그램에서는 4대의 드론이 사전에 설정된 영역을 각각 비행하며 영상을 촬영하며 만약 어느 한 드론이 고장 날 경우 나머지 드론이 자율적으로 상호보완해 사전에 계획된 임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했다.
특히 현재 육안으로 약 10시간의 동체 검사 시간을 약 4시간으로 60% 가량 줄여 항공기 정시성도 크게 향상시켰으며, 드론에 장착된 고성능 카메라는 1mm 크기까지 식별 가능해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미세한 손상까지 정확한 탐지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솔루션 개발에 대해 "클라우드로 검사 데이터를 공유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축된 시스템"이라며 "안전한 드론 운영을 위해 ‘충돌 방지 및 회피’와 ‘안전비행영역’(지오펜스·Geo Fence) 기능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속적인 드론 시범 운영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도 및 사용 편의성 향상, 운영의 안정성 및 검사 정확도 등을 개선시켜 내년 중으로 정식 운영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