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의 척추는 측면에서 봤을 때 자연스러운 S자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이 만곡을 통해 중력의 압박을 견디고 충격도 흡수한다. 하지만 정면에서 봤을 때 똑바른 일직선이어야 할 척추가 10도 이상 옆으로 휘어져 있는 경우 ‘척추측만증’이라 진단한다.
소아청소년기 전체 인구의 1.5%~3% 정도에서 발견되는 척추측만증은 대부분 특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이다. 전체 환자의 85%~90%를 차지하며, 일부 선천적, 신경학적 이상에 의한 발병도 존재한다.
척추측만증의 진단은 방사선 촬영을 통해 확진하지만, 간단한 관찰을 통해서도 질병 유무를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서 있을 때 어깨의 양쪽 높이가 다르거나 몸통이 비대칭인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여자의 경우 유방 크기가 다르고 골반이 틀어져 보일 수 있다.
가장 정확한 것은 앞으로 팔을 뻗은 채 숙인 상태에서 등을 관찰하는 ‘아담스 전방 굴곡 검사’다. 해당 검사 시행 시 한쪽이 튀어나와 보이면 척추측만증일 가능성이 높다.
치료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20도 미만의 측만은 특별한 치료 없이 주기적으로 방사선 촬영을 통해 경과만 관찰한다. 측만 정도가 20도를 넘어서면 보조기 착용을 검토하는데, 환자의 성장이 아직 진행 중일 때에만 해당하며 성장이 끝난 경우에는 고려하지 않는다. 보조기는 교정이 아닌 굴곡이 심해지는 것을 예방하고 늦추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측만증이 40도를 넘으면 수술을 통한 교정이 필요하다. 50도가 넘을 경우 성장이 멈추더라도 매년 조금씩 나빠지며, 70도가 넘어가면 폐활량 감소와 폐질환에 의한 심부전까지 나타날 수 있다. 수술은 금속 고정물을 사용해 균형을 잡고 척추 유합술로 교정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시행된다.
고려대안산병원 정형외과 박지원 교수는 “척추측만증의 치료는 현재 환자의 측만 정도 및 골격성숙 정도, 그리고 향후 성장여력 등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된다”며, “질병이 의심되는 경우 하루빨리 전문의를 찾아 상담받기를 권한다”고 밝혔다.
또한, “환자의 대부분이 소아청소년기인데, 전문의의 방침만 잘 따르고 자녀들에게 심각한 질병이 아니라고 안심시키며 외모의 자존감이 손상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글 = 고려대학교안산병원 제공)
[ 경기신문 / 정리 = 정경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