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7일 개최한 제23주년 기념식에서 ‘2022년 10대 중점 추진과제’를 추진해 미래공항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청사진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경욱 사장은 “올 한해 전사적 역량을 집중해 10대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함으로써 올해를 코로나19 위기극복 및 인천공항 재도약의 원년으로 삼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추진방향의 주요 과제는 ▲공항운영 정상화 ▲스마트 혁신 공항 경쟁력 강화 ▲지속가능 미래성장을 3대 목표로 삼았다.
특히 인천공항의 세계적인 스마트 방역 인프라를 기반으로 스마트패스(생체정보 활용 여객수속) 시범도입 등 비대면 스마트 서비스를 적기 확충해 코로나19로 위축된 여객수요의 조기회복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긴축예산 운영 및 경비절감 ▲해외사업 등 대체수익원 발굴 등의 자구노력을 통해 재무건전성 악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연내에 월간 영업수지 흑자전환을 달성하고 부채비율을 100% 이내로 줄이는 등 경영 정상화를 이끌 방침이다.
공사는 4차 산업 신기술에 기반한 신규 서비스를 확대해 인천공항을 ‘이동을 위한 공간’에서 ‘고객 가치가 창출되는 스마트 라이프 플랫폼’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올 상반기 중 공항 식음매장 서빙로봇과 무인환전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혁신적 고객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안전 측면에서도 올 하반기 스마트 보안검색장비 확대도입 등 안전 최우선 경영 가치를 바탕으로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구현하고 4단계 건설현장 등에 선도적 안전관리모델을 구축해 중대재해 ZERO를 달성한다는 각오다.
아울러 저탄소·친환경 공항운영(E), 사회 책임경영 강화를 통한 일자리 보호(S), 공항생태계 전반의 윤리경형 강화(G) 등 ESG경영을 고도화해 지속가능한 미래가치를 창출해나갈 계획이다.
아시아 공항 최초로 RE100 가입을 추진하고 3R 기반의 제로 웨이스트 공항 선포, 태양광발전 증설, 공항 내 그린모빌리티 및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대 등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 자립공항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이밖에 인천공항 경제권 클러스터를 조성해 신규 항공수요 및 내국인 관광수요를 창출하고, 글로벌 문화예술 시설·콘텐츠를 유치하는 등 문화예술공항(Art-Port)으로서의 브랜딩을 강화해 미래성장동력을 높여갈 방침이다.
또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을 적기 추진하고 중장기 공항개발전략을 수립해 동북아 1위 규모의 공항 인프라를 확충하며, 적극적인 해외사업 수주활동을 통해 한국형 공항플랫폼(K-Airport)을 수출해 대한민국의 해외 경제 영토를 넓혀갈 예정이다.
김경욱 공사 사장은 “10대 중점 추진과제를 바탕으로 인천공항이 전 세계 미래공항 패러다임 혁신을 선도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로 한층 격화되는 글로벌 허브공항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