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 청년 10명 중 9명은 “청년들이 겪는 사회적 어려움 정도가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수원시에 따르면 수원시정연구원이 수원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FGI(집단심층면접) 등을 한 결과 ‘청년이 겪는 사회적 어려움 정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7%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2021년 12월 수원시 거주 만 19~39세 청년 6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청년이 겪는 사회적 어려움 정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7%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69.4%는 “수원시 청년정책이 꼭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수원시정연구원은 ▲일자리 ▲교육 ▲복지·생활 ▲주거 등 4개 분야에서 ‘청년에게 가장 필요한 정책’을 조사했다.
청년들이 가장 많이 선호한 각 분야의 정책은 ▲수원형 중소기업 재직 청년 근로장려금 지원사업 ▲청년·기업·대학 간 연계 취업멘토링 사업 ▲자산형성 지원(청년희망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사업 ▲청년 월세 지원 사업 등이다.
FGI(집단심층면접)에는 수원시에 거주하는 만19~39세 청년 19명과 비거주 청년 7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19~24세 그룹은 '청년 주거정책(주거비 지원, 주거환경 개선)'을, 25~29세 그룹은 코로나 블루(우울감)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30~34세 그룹은 ‘육아·보육지원 확대’·‘전세대출 이자 지원’ 등을, 35~39세 그룹은 “지속될 수 있는 청년정책을 수립해 추진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수원시정연구원은 수원시 청년정책 발전을 위한 전략과제로 ▲청년특구 활성화 ▲취약 청년정책 개발 ▲청년주도정책 할당제 등을 제안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시는 2016년부터 '청년정책 전담 부서 신설', '청년기본조례 제정', '기본계획 수립' 등 선도적으로 청년정책을 추진해왔다”며 “이번 학술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수원시 청년정책의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고 말했다.
[경기신문 = 이명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