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기도, 디지털 행정 체계 전환…5차 정보화 기본계획 수립

3대 추진전략‧39개 이행과제 도출…디지털 기술 접목, 도민 삶의 질 증진

 

경기도가 민원인의 성별, 나이 등 인적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별로 필요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민원 예측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

 

또 민원서식 작성에 인공지능을 도입해 대화방식으로 서식을 자동 작성하고, 신분증 없이 스마트폰으로 신분 증명이 가능한 디지털 신분 증명서비스도 도입한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5차 경기도 정보화 기본계획(2022~2026)’을 수립, 디지털 기반 경기도 행정체계를 구축한다고 21일 밝혔다.

 

도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3대 추진전략과 10대 전략과제, 39개 이행과제를 추진하며 총 1225억 원을 투입한다. 

 

도는 우선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대민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민원 징후 선제적 대응 예측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

 

또 ‘인공지능 기반 민원서식 작성 서비스’를 추진, 민원서식 발급 시 인공지능을 활용해 대화방식으로 민원인이 필요로 하는 서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도는 개별 행정시스템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한곳에서 수집‧저장‧가공‧활용하는 ‘경기도 데이터 댐’을 구축하고, 여러 신분증을 디지털 기반으로 스마트폰 등으로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 경기지갑 앱’도 제작할 방침이다. 

 

도는 유휴 물품이나 재능 등을 공유하고 상호 활용할 수 있도록 ‘경기도 공유경제 플랫폼’을 구축하고, 31개 시‧군에 구축된 폐쇄회로(CC)TV 통합관제센터를 단계적으로 통합 관리한다.

 

 

아울러 디지털 신기술 활성화를 통해 산업혁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지원하는 ‘스마트 산업단지’, ‘혁신데이터센터’를 조성해 공정 효율성을 높인다.

 

또 도내 주요 관광지를 메타버스로 체험하는 ‘메타버스 기반 체감형 관광 플랫폼’과 ‘비대면 문화예술전시 관람 플랫폼’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고령층과 장애인이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도록 ‘스마트 시니어 IT 체험존’을 구축해 교육을 제공하고,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를 박물관 등에 설치한다.

 

또 ‘스마트 그린산단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통해 영상, 센서 등으로 가스유출, 불꽃 등을 사전에 감지해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도는 이번 정책 시행을 위해 단기적으로 정보화위원회, 이해오가제 추진협의체, 정보화 책임관 등을 통해 추진한다. 장기적으로는 현행 정보와 전담 조직을 ‘과’ 단위에서 가칭 디지털융합국 간층 ‘국’ 단위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류인권 도 기획조정실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이미 디지털 전환의 시대로 들어섰다”면서 “5차 기본계획을 통해 도정서비스를 디지털로 전환하고, 행정서비스 역량을 향상해 지능정보 생태계의 성장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태현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