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4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신간] 책 속에서 느끼는 오묘한 감정의 집합체 '책 속으로'

 

성현들은 고전에서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라고 설파했다. 육안(肉眼)이 아닌 내면을 통해 보는 세상이 더 뜻깊을 것이라는 충고다.

 

그러면 심안(心眼)이겠다. 흰두에서 제3의 눈이라고 표현되는 심안은 낮지만 깊고 우주를 아우를 수 있는 진안(眞眼)의 다른 이름일 수도 있으리.

 

지구를 커다란 도서관이라고 할 때 그 안에는 어떤 신비함이 숨어 있을까, 도발하는 그림책이 세상에 나와 또 다른 화두를 건넨다.

 

그 길을 떠나려는 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용기다. 굳이 프로스트를 끌어들이지 않아도 ‘가지 않은 길’을 가려면 지구의 반 보다 더 큰 무게를 감당해야 하니까. 그것을 삶이라 불러도 좋겠다.

 

그런 용기를 가득 모아 조미자 작가가 글과 그림으로 담아내 ‘책 속으로(핑거 刊)’을 펴냈다.

 

그는 ‘용기의 날개를 달고 책 속으로!’ 갔다고 한다. 그러나 날개는 날아오르려는 욕망의 장치이지 안으로 들어가려는 도구가 아니다.

 

그런데도 이 역설의 미학을 도발하고 있는 작가는 어쩌면 지구 속에 있을지도 모르는 새로운 오래된 세계에서 지상으로 올라 온 메시아가 아닐까, 그림책이라는 도도한 빗자루를 타고.

 

책 속에서 주인공이 경험한 오묘한 감정은 어떤 것일까, 그 궁금한 역사로 들어가 보자.

 

가다 보면 또 길이 열리지 않겠는가. 그림책이 주는 또 다른 신화다. 즐겁게 경험해보자.

 

[ 경기신문 = 최정용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