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국회 첫 국정감사에 임하면서 `정책감사'를 표방한 여야가 과거와 마찬가지로 국감장 안팎에서 현안을 놓고 격돌, 일부 상임위 국감과정에서 파행이 빚어지는 등 초반부터 여야 대립이 첨예화되고 있다.
교육위는 5일 서울시교육청을 대상으로 이틀째 국감에 나설 예정이었으나 전날 한나라당 권철현 의원의 `친북 교과서' 발언과 관련, 증인.참고인 채택을 놓고 여야가 대립하는 바람에 국감이 이뤄지지 못했다.
열린우리당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과 기획실장을 증인이나 참고인으로 채택할 것을 주장했으나 한나라당은 `선국감진행 후논의'를 내세우며 맞섰다.
또 국방위에선 전날 한나라당 박 진 의원의 `보름내 서울 방어선 함락' 발언에 대해 일부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국가기밀을 유출한 의원과 국감을 할 수 없다"며 박 의원의 제척을 요구해 한 때 정회되는 소동이 빚어졌다.
장외공방도 뜨거웠다.
교육위 소속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권철현 의원의 주장과 관련, 성명을 내고 "한나라당과 일부 언론이 무책임하고 선동적인 발언과 주장으로 국감장을 이념공세와 정치선동의 장으로 변질시키고 있다"며 권 의원의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
임종석 대변인도 이에 가세, 권 의원에 대해 일부 언론과의 사전 교감설을 제기하며 `언론의 양심 회복'을 촉구했다.
또 그는 박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도 "근거없이 사회불안을 조장하는 전형적인 내용"이라고 일축하고 "가장 현실성이 낮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갖고 어처구니 없는 저질 폭로를 한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는 "근현대사 교과서의 친북.반미.민중사관식 기술을 지적한 데 대해 교육부는 누구에 의해 자행된 것인지 밝혀야 한다"며"북한의 공격을 받으면 16일만에 방위선이 무너지면서 걸핏하면 자주국방 운운하는데 한미동맹을 복원해야 한다는 점을 충고한다"고 말했다.
남경필 수석 원내부대표는 교육위 파행과 관련, "여당이 국감을 파행으로 몰고가려고 억지를 부리는 모습은 유감"이라면서 "문제가 되는 부분에 대해선 공청회를 열어 따져보자"고 제안했다.
전여옥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열린우리당의 민중사관 교과서 비호에 깊은 유감을 나타내며 국감중인 동료의원을 모독하고 협박하는 행위에 대해선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동당은 "일분일초가 금쪽같은 국감이 첫날부터 산적한 현안은 제쳐둔 채 소모적인 정쟁과 공방으로 파행됐다"면서 "이같은 구태가 계속된다면 양당의 국정감사 행태에 대한 국정감사라도 벌일 수밖에 없다. 양당의 구태를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싸잡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