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도민에게 쾌적한 대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2022년 경기도 대기환경 개선 추진계획’을 수립, 5744억 원을 투입해 4대 전략 10대 부문 39개 중점과제를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도가 지난해 ‘대기관리권역법’에 따라 수립한 ‘경기도 대기환경 관리 시행계획(2020~2024)’의 연차별 단기 계획이다.
도는 올 4월부터 내년 3월까지 목표농도로 미세먼지(PM10) 39㎍/㎥(지난해 42㎍/㎥), 초미세먼지(PM2.5) 20㎍/㎥(지난해 21㎍/㎥), 이산화질소(NO2) 18ppb(지난해 19ppb), 오존(O3) 28ppb(지난해 29ppb)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생활 ▲정책‧협력 ▲수송 ▲사업장 관리 및 배출원 농도 저감을 4대 전략으로 수립했으며, 올해 다양한 신규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생활’ 분야에서 시외버스 250대에 버스형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한다. 이는 지난해 실증사업으로 효과를 입증, 올해 신규 추진하는 사업이다.
버스형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오염공기를 프리필터(큰 먼지 제거)와 카본필터(악취물질 제거), 헤파필터(미세먼지·초미세먼지 제거), UV-LED(부유세균·바이러스 살균)를 통해 청정공기로 바꿔준다.
‘집중관리구역 지원사업’으로 산업단지 인근 등 고농도 미세먼지 배출지역 내에 있는 취약계층 이용시설(어린이집·노인요양시설 등) 공기 질도 관리한다.
해당 사업으로는 수원시 등 10개 기초단체 취약계층 이용시설에 미세먼지 쉼터, 간이 측정기, 미세먼지 흡입매트, 스마트 에어샤워, 창호부착형 환기시스템 등을 설치해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고농도 시 신속하게 저감조치를 시행한다.
또 각종 유해가스가 다량 발생하는 대형음식점 조리실과 화목보일러를 사용하는 농가·전원주택 등을 대상으로 공기질 실태조사·분석을 진행해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책·협력’ 전략으로는 서해안권(경기·인천·충남) 초광역 대기질 개선사업, 평택-당진항만 대기질 개선사업, 유엔환경계획(UNEP)-경기·서울·인천 대기질 공동연구 등을 추진한다.
‘수송’ 분야에서는 무공해 친환경차 보급 확대와 노후경유차 운행 저감을 위해 전기이륜차 및 전기굴착기 보급,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등을 시행한다.
‘사업장 관리 및 배출원 농도 저감’ 전략으로는 소규모 사업장에 방지시설을 지원하고, 고농도 연료(고체연료·고황유 등) 사용제한지역을 확대한다.
박대근 도 미세먼지대책과장은 “도민들이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대기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하고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