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10일 오전(한국시간 10일 오후) 하노이 주석궁에서 쩐 득 렁 베트남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공동언론발표문'을 채택, 지난 2001년 합의된 양국간 `포괄적 동반자관계'를 확대. 심화시켜 나가기로 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대우와 포스코, 코오롱건설 등 6개사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인 `하노이 신도시 개발'의 사업승인을 앞당겨줄 것을 요청했고,렁 주석은 "바로 해주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정우성 청와대 외교보좌관이 전했다.
우리 업체들은 베트남 당국이 구상중인 `하노이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 총 207ha를 개발, 4천900세대의 주택을 분양할 계획이나 하노이시의 최종 사업승인, 베트남 투자계획부의 투자승인 절차 지연 등으로 공사 착수가 이뤄지지 못했다.
양국 정상의 이같은 합의에 따라 내년초에는 한국 업체들이 사업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 보좌관은 브리핑에서 "양 정상은 하노이 신도시 개발사업에 대해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면서 "내년초 사업 착수가 이뤄질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렁 주석은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 투자확대를 요청하고 양국간 무역불균형 개선 문제를 제기하고, 한국측의 산업연수생 확대, 유무상 지원 확대, 유전 및 가스전 개발 참여를 요청했다.
렁 주석은 또 SKT, LG전자 등 한국 이동통신업체들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고 있는 `에스폰' 사업과 관련, 지금까지 추가 자금조달이 안되는 제한된 투자유치 방식에서 합작투자 방식으로의 전환을 허용해 주겠다는 뜻을 밝혔다.
아울러 양국은 KT의 베트남 초고속망 건설사업 참여에도 합의했다.
노 대통령은 베트남측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무역불균형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서 이해를 구했고, 렁 주석은 "잘 알겠다. 그러나 자금 마련을 위해선 우리도 수출이 필요하다"고 협조를 요청했다.
또 북핵 문제와 관련, 노 대통령은 "6자회담이 성공하려면 북한이 결단을 내려야 하는데 북한이 결단을 내리기 위해선 개혁.개방에 대한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북한이 베트남의 개방을 보고 배우고, 또 베트남이 북한을 설득하는 등 역할이 있는 것 같다"며 베트남의 지원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