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청년거버넌스살리기운동본부(청살본, 김동희 상임본부장)가 경기도와 정치권에 도내 청년 정책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개선을 촉구했다.
청살본은 19일 수원시 경기도청 광교 신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의 2030 청년 인구는 서울의 129%로 많지만 예산 규모는 서울의 65%에 불과하다”며 부족한 청년 관련 센터의 수, 시·군 간 불균일한 정책 추진 체계 등 도내 청년 정책 현황을 지적했다.
이어 이들은 “올해 사업 종료 예정인 경기청년지원사업단의 불안정한 운영방식과 실무자들의 고용불안정도 개선하라”며 “청년과의 거버넌스를 통해 보다 지속 가능한 형태를 갖춰야 한다“고 경기도에 요구했다.
이날 청살본은 ▲행정 컨트롤타워 재정비 ▲경기청년지원사업단 존속 및 기관 독립 추진 ▲청년 지원에 적합한 채용 원칙 수립 ▲청년 정책 종사자의 안정적 근무환경 조성 ▲공공서비스 상향평준화 ▲청년정책 공급망 점검 ▲정책의사결정과정에 청년 참여 등의 사항을 요구했다.
청살본은 “정치권이 나서서 경기도 최초의 청관협력 사례를 성공 사례로 이끄는데 앞장서 조치하라”며 “청년을 ‘정략적 대상’으로만 호명하지 말고 진정한 청년 혁신 도시를 건립하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광역의원 청년비례대표 공개 오디션에서 우승한 이자형 청살본 공동위원장은 “다양한 청년 공약을 약속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흩어진 청년 정책들을 하나로 모으고 피부로 느끼게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위원장은 “민선 8기 경기도정은 민선 7기에서 시행된 경기도형 청년정책을 이어나가면서 수정 보완해 고도화 된 내용들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노력해야한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