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이 도지사직인수위원회(인수위)에 경기북부 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하면서 ‘경기도 분도(分道)’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김 당선인은 8일 남경필 전 지사와 경기도정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경기북도 설치는 구호성이 아닌 가능한 빨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경기북도 설치를 위해서는 주민투표를 거쳐야 하는 만큼 도지사로 취임하면 전담팀을 별도로 만들어 추진할 생각”이라며 “모든 절차를 고려한 시간표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김 당선인은 9일 인수위 구성을 완료, 현판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인수위는 경기북도 설치특별위원회 등 2개 특별위원회와 7개 분과가 설치돼 오는 29일까지 운영된다.
지금껏 분도 논의는 계속돼 왔지만 정치적 이해득실로 번번이 묵살돼 왔다. 역대 도지사들이 자신의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며 분도를 반대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 당선인은 역대 도지사들과 달리 분도에 대해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분도를 위한 최대 걸림돌이 사라진 셈이다.
인수위에 경기북부 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특별위원회가 설치되는 만큼 김 당선인은 세부 추진 과정을 수립, 올해 안으로 주민투표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주민투표를 진행하기 위해선 경기도가 행정안전부에 요청하는 것과, 경기도의회 의결을 받아 행안부와 국회에 통보하는 2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김 당선인이 어떤 방식을 취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주민투표를 통해 찬성이 높을 경우 경기북부 특별자치도 설치는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앞서 2020년 10월 더불어민주당 김민철 의원(의정부 을)이 공개한 ‘경기북도 신설’ 여론조사 결과 찬성이 46.3%, 반대 33.2%로 나타났다.
또 김 의원이 지난해 12월 리얼미터에 의뢰한 ‘경기북도 설치 방안’에 대해서는 44.6%가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반대는 37.3%로 찬성이 7.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1호 법안으로 ‘경기북도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으며 여야 의원 51명이 법안 발의에 동참했다.
김 의원은 경기신문과 통화에서 “지금껏 분도 논의가 흐지부지했던 것은 역대 도지사들이 반대해 왔기 때문”이라며 “경기도지사로 김동연 후보가 당선된 만큼 걸림돌이 해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분도와 관련해 김 당선인과 깊고 많은 대화를 나눴다”며 “김 당선인도 저의 말을 듣고 분도에 대한 확신을 많이 가지게 됐다”고 덧붙였다.
김 당선인은 “경기북도 설치를 제가 강조하는 이유는 북도에 대한 차별이나 규제로 인한 피해에 대한 보상 차원이 아니다”라며 “경기북도는 가장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대한민국 성장의 심장으로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
※ 쉬운 우리말로 고쳤습니다. * 타임 테이블(timetable) → 시간표
(원문) 그는 “경기북도 설치를 위해서는 주민투표를 거쳐야 하는 만큼 도지사로 취임하면 전담팀을 별도로 만들어 추진할 생각”이라며 “모든 절차를 고려한 타임테이블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고쳐 쓴 문장) 그는 “경기북도 설치를 위해서는 주민투표를 거쳐야 하는 만큼 도지사로 취임하면 전담팀을 별도로 만들어 추진할 생각”이라며 “모든 절차를 고려한 시간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