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인천간 복선전철 사업이 도심 통과와 관련해 주민들이 지중화를 요구하며 반대에 부딪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4일 철도시설공단이 국회 건교위 소속 열린우리당 장경수 의원(안산 상록갑)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수원∼인천간 복선전철이 139회의 여객운송 외에도 하루 13회의 화물열차가 통과하는 관계로 대기오염과 소음에 대한 지역민들의 민원이 야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장 의원은 이날 철도청과 철도시설공단에 대한 감사에서 "수인선중 인천구간 공사가 지상화와 지하화를 주장하는 주민들 주장 때문에 공사가 늦어지고 있다"며 "이에 따른 대책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현재 수인선의 역사 위치를 보면 수원, 용현, 남부, 국제여객, 인천 등은 지하로 설치되고, 사리는 지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돼 있으나 주민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장 의원은 "공단이 수인선의 노선을 결정하면서 대안을 찾기보단 공사 추진에 초점을 맞춰자칫 공사시기를 놓칠 위기에 처했다"고 질책했다.
장 의원은 특히 주민들의 지중화 요구에 대해 "안산시가 시비를 투자해 화물열차의 노선을 외곽으로 이설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고 현재 추진코자 하는 야목-한대역앞 구간에 대해 소음 및 환경오염 저감대책을 마련하는 등 주민설득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철도청의 무책임한 태도를 비난했다.
그러나 같은 당 이호웅 의원(인천 남동을)은 수인선의 지하화를 적극 옹호하며 "소래에서 인천간 구간중 연수-송도역간 지하화로 건설키로 한 것은 대단위 아파트가 들어선 연수동 지역 주민들의 피해 최소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며 "나머지 구간은 지상화로 소음, 진동등에 의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공단의 대책을 추궁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수인선은 인천항과 남동공단, 시화공단, 반월공단등 공단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인천 서동부와 경기남부를 연결, 화물 연결량이 상당할 것"이라며 이 구간의 공사 강행을 역설했다.
이 의원은 이어 "송도-인천구간의 화물철도 건설이 보류됐는데 송도-인천항을 연결하는 도심 우회노선과 동북아 물류 중심도시로 송도신항만 개발계획과 연계해 시화지구와 송도신도시 외곽으로 화물열차 건설이 시급하다"며 "공단은 어떤 복안을 갖고 있느냐"고 캐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