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가 양당의 원구성 협상 불발로 개원도 못하고 파행을 이어가는 가운데 도의회 정상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시민단체나 노조 등이 도청‧도의회 앞에서 잇따라 기자회견을 열거나 성명서를 통해 조속한 원구성을 통한 추경안 처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전국공무원노조 경기지역본부 경기도청지부는 27일 성명서에서 “많은 노동자와 서민들이 물가상승에 걱정스러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며 “이런 중차대한 문제 앞에 의회는 본연의 자세로 돌아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협치와 대화는 정치인들의 보여주기식 미사여구쯤 되는 것 같다”며 “이런 저런 이유로 의회가 운영되지 않으니 시급히 처리해야 할 추경 등 여려 가지가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전날에는 경기교사노조가 성명서를 통해 “산적한 교육현안을 외면한 채 한 달 가까이 개원조차 못하고 있다”며 “무책임한 도의회 의원들로 도가 마련한 추경 예산안,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지원 등 정부 지원사업, 도교육청의 각종 정책 등도 무기한 대기 상태에 놓이게 됐다”고 비판했다.
같은 날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연대회의)도 “도의회는 각 당의 당리당략에 빠지지 말고 도민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초심을 되찾기 바란다”며 “도민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자리다툼에 빠져 본연의 역할을 외면하면 경기도민의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러한 비난은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피할 수 없었다.
도내 중소상인과 자영업자가 모인 자발적 시민연대 일동은 27일 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지사를 향해 “자영업자를 위한 말꾼이 아닌 진정 우리를 위한 일꾼이 돼달라”고 호소했다.
이들은 “우리는 생업을 뒤로하고 도청 앞에 나와 생계의 절실함을 호소해야하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도와 김 지사는 누굴위해 일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김 지사에게 “탁상 추경을 멈추라”며 “말로만 도민을 위하는 척이 아닌 중소상인, 자영업자의 생존과 현실을 타개해 나갈 수 있게끔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해달라”고 촉구했다.
[ 경기신문 = 허수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