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대학교가 난치성 유방암 치료효율을 높일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를 활용해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아주대는 김문석 교수팀이 삼중음성유방암 치료를 위한 항산화 물질인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제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24일 밝혔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유방암의 한 유형으로 암의 진행 속도가 빠르고 전이가 쉬운 난치성이다.
이에 아주대 연구팀은 레스베라트롤 약물을 암 조직에 직접 주입하기 위해 생분해성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을 제조했다. 포도 껍질과 체리 등에 다량 함유된 레스베라트롤은 암세포가 자멸시켜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내용은 ‘삼중음성유방암 치료 효과 개선을 위한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유방암 직접 주사 하이드로겔’이라는 논문으로, 생체 재료 분야 국제 저널인 ‘머터리얼즈 투데이 바이오’ 온라인판에 지난 12일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는 석사과정 중인 김희은‧신기루 분자과학기술학과 학생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또 김재호·최상돈 교수와 최학수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수, ㈜메디폴리머도 참여했다.
김문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히알루론산 기반 하이드로겔 제형은 다양한 항암제에 적용이 가능하다”며 “유방암을 포함한 여러 암 질환에서 치료 효율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