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25일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건설 특별법 위헌 결정에 대한 대책과 행정수도 이전 사업 중단에 따른 대안 모색에 착수했다.
노무현 대통령이 이날 이해찬 총리가 대독한 시정연설을 통해 "헌재의 결론에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국가균형발전 전략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적절한 계획을 세워 반드시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힘에 따라 여권은 합헌의 틀 내에서의 `행정도시' 건설 등 다양한 방안에 대한 검토를 벌일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당은 이날 국회에서 상임중앙위회의와 의원총회를 열어 행정수도 이전 사업중단에 따른 대책을 논의했고,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의 활동이 중단됨에 따라 금주중 `당정청 특별협의체'를 통해 국토균형발전 계획을 재점검하고 충청권 발전 방안을 찾기 위한 기구 구성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천정배 원내대표는 상임중앙위 회의에서 "11월2일까지 대정부질의를 통해 헌재의 위헌 결정에 따른 후속대책을 마련하고 경제 활성화 등을 준비하는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다.
임종석 대변인은 "청와대와 국무조정실, 당 정책위 등이 참여해서 빠른 시일내에 대책을 내야 한다"며 "수도이전이 아니면서 신행정수도 건설의 효과가 나올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할 것이며 신중하고 종합적으로 계획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권은 섣부른 대안 제시를 자제하고, 정부 각 부처와 열린우리당 등에서 다양한 여론을 충분히 수렴한 뒤에 대책의 가닥을 잡겠다는 방침이다.
여권에서 검토되는 대안에는 청와대와 국회, 대법원 등 헌법기관을 제외한 행정부처와 산하 공공기관들을 모두 충청권으로 옮겨 `행정특별시'를 건설하는 방안, 충청권에 과천과 같은 `행정타운'을 조성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는 가운데 일부 수도권 의원들은 충청권에 `기업도시'를 유치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