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소관 공공기관 중 지역인재 채용률이 35% 미만인 곳이 전체의 2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교육부 소관 기관이 지역발전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민주·안양만안) 의원은 교육부로부터 받은 ‘교육부 소관 공공기관의 지방인재 채용현황’을 확인한 결과 지역인재 채용률이 35% 미만인 곳이 23곳 중 5곳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현재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에는 ‘공공기관과 상시 근로자의 수가 300명 이상인 기업은 신규채용 인원의 일정 비율 이상을 지역인재로 채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이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공공기관과 기업이 연간 신규채용 인원 중 35% 이상을 지역인재로 채용하는 경우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는 규정도 존재한다.
지난 2017년 지역인재 채용률이 35% 미만인 곳은 총 6곳이 었지만, 지난해 기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모두 5곳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특히 특히, 5곳 중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을 제외한 4곳은 5년간 단 한 번도 지역인재 채용률이 35%를 넘은 적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23개 소관 공공기관 중 2017년 대비 지난해 채용률이 하락한 기관은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등 모두 10곳이었다.
특히 2018년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지역인재 채용률은 47.9%였지만, 지난해에는 15%에 불과했다. 지역인재 채용률이 3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한 것이다.
강득구 의원은 “관련 법률은 지역인재를 육성하고 지방대학을 살리기 위해 제정된 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법률과 지역인재 육성의 주무부처인 교육부 소관 기관부터 정부 정책에 적극 앞장서서 지역을 살리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