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청약통장 가입자 12년 만에 줄었다"

-지난해 가입자 수 47만 명 이상 감소
-"사회초년생·저가점자 청약통장 포기"
-분양가 메리트 사라져 청약 매력 줄어

 

지난해 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12년 만에 감소했다. 부동산 시장 한파로 집값은 하락하는데 물가 상승으로 원자재 가격 등은 오르면서 분양가가 뛰어 청약에 대한 매력이 줄어들어서다.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총 2789만 4228명으로 집계됐다. 2021년 12월 말 2837만 1714명보다 47만 7486명 줄었다.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청약홈에 공개된 자료를 기준으로 2010년 1009만 명에서 매년 꾸준히 늘어 2016년 2000만 명을 돌파했다. 이후에도 꾸준히 늘어나던 가입자 수는 지난해 7월 전월 대비 1만 8000여 명 감소한 뒤 6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다.

 

통장 유형별로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가 2677만 3000명에서 2638만 1000명으로 39만여 명 감소했다. 청약저축은 2만 5748명, 청약부금은 8535명, 청약예금도 4931명 줄어들었다.

 

지역별로는 5대 광역시의 가입자 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줄었다. 작년 6월 530만 9908명이었던 5대 광역시의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작년 12월 514만 7295명으로 줄었다. 서울, 인천과 경기, 기타 지역의 가입자 수 감소 폭도 2%대에 달했다.

 

집값 급등기에는 청약을 통해 주변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신축 아파트를 분양받아 수억 원의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 '로또 청약'으로 여겨졌지만, 지난해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로 청약 매력이 줄면서 통장을 해지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게다가 시중 예·적금 이자보다 주택청약종합저축 금리가 낮은 수준에 머물러, 기준금리에 발맞춰 오르는 시중은행 예금에 돈을 예치해두는 것이 오히려 이득이라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의 주력 정기예금 상품 최고금리는 지난 15일 기준 연 3.81~4.1% 수준이다. 하지만 청약통장은 연 2%대에 머무르고 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최근 고금리에 기존 집값이 가파르게 하락했고,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분양가가 높아지면서 분양의 매력이 줄어들었다. 이에 청약통장 가입자 수도 줄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리가 오르면서 예금 금리도 덩달아 상승, 갈아타기 수요까지 가세했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지난해 감소한 청약통장 가입자 47만 7486명은 지난해 전체 2789만 4228명의 1.71%다. 전문가들은 청약통장을 만든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사회 초년생이나 가점이 낮은 일부 예비 청약자들이 통장을 해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박지민 월용청약연구소 대표는 "고가점자들이 단순히 시장 상황이 바뀌었다고, 고금리에 더 나은 예금 상품이 출시됐다고 해서 청약통장을 포기할 이유가 전혀 없다"며 "집값 급등기 '로또 청약'을 노리고 진입했던 저가점자나 청약통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에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 사회 초년생들이 해지했을 것이다. 또 일부 청약에 당첨돼 통장을 소진한 경우도 포함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