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이부영 의장은 22일 전국공무원노조(이하 전공노) 파업사태 주동자에 대한 정부의 중징계 방침에 대해 "전공노 조합원들이 공무원 신분을 망각하고 파업에 참가했다 해도 대량 징계.구속사태를 일으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게 우리당의 인식"이라고 말했다.
이 의장은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상임중앙위 회의에서 "전공노의 단체행동권 요구는 국민여론의 지지를 받을 수 없는 무리한 선택이었다"고 지적하면서도 정상참작과 징계수위 조절을 정부에 요청했다.
이 의장은 "파업사태를 일으킨 주동자는 가려내되 아직 출근하지 않은 주동자 가운데서도 스스로 출두해서 조사에 협력하는 인사들은 정상을 참작해야 한다"며 "단순가담자에 대해서는 징계수위를 최대한 조절해야 할 것이라고 보며, 비록 징계주체가 지자체로 돼있지만 정부가 유연한 징계지침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이 의장은 "전공노측도 노동3권을 모두 쟁취하는 것보다는 노조의 합법성을 얻어내는 것이 현 단계에서는 훨씬 유리한 전략이며, 또한 각 가정의 가장이자 공무원인 수많은 조합원들을 구직난 시대에 실직 대열에 몰아넣는 실책을 저지르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이어 오후 국회 집무실에서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과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을 1시간여 동안 면담하고 공무원 노조 파업사태와 정부가 입법 추진중인 `비정규직 보호입법'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 의장은 공무원노조 사태를 당이 나서 조정.중재해달라는 노조측의 요청에 대해 "간단한 사안이 아니니 검토해보겠다"고 답했다고 배석한 이목희 제5 정조위원장이 전했다.
그는 비정규직 보호입법에 대해 "충분한 대화와 토론, 검토와 심의가 필요한 법안"이라며 "날짜를 정하거나 국회 일정에 쫓겨 처리할 필요는 없다"며 법안의 연내처리에 집착하지 않을 뜻을 내비쳤다.
그는 민주노총의 총파업 방침과 관련, "경제가 어렵고 국민들도 불안해하므로 민주노총이 국회 심의 과정에서 충분히 참여하고 대화하고 토론하는 것이 온당하다"며 총파업 계획 철회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