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뭉칫돈’ 은행으로…잔액 10억 넘는 고액 예금 800조 육박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랠리에
1년 전보다 26조 원 이상 늘어


잔액 10억 원이 넘는 고액 예금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그 규모가 800조 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은행의 저축성예금(정기예금, 정기적금, 기업자유예금, 저축예금) 가운데 잔액이 10억 원을 넘는 계좌의 총예금은 796조 3480억 원이었다.

 

이는 지난해 6월 말(787조 9150억 원)과 비교하면 1.1%(8조 433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사상 최대치다. 1년 전보다는 3.5%(26조 6260억 원)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매년 반기별로 예금규모별 계좌 수 및 금액을 집계해 상·하반기 한 차례씩 공표하고 있다.

 

10억 원 초과 고액 예금 계좌 수는 2021년 6월 말 8만 4000계좌, 2021년 말 8만 9000계좌, 지난해 6월 말 9만 4000계좌에 이어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9만 5000계좌로 증가했다.

 

10억 원 초과 저축성예금 잔액은 2017년 말 499조 1890억 원에서 2018년 말(565조 7940억 원) 500조 원을 넘어섰고, 2019년 말(617조 9610억 원)에는 600조 원을 돌파했다. 이어 2020년 말 676조 1610억 원에 이어 2021년 말(769조 7220억 원)에는 700조 원 선마저 뛰어넘었고, 지난해 말에는 800조 원에 육박했다.

 

지난해 말 기준 10억 원 초과 고액 계좌를 종류별로 살펴보면 정기예금이 564조 5460억 원으로 1년 전(509조 8150억 원)과 비교해 10.7%(54조 7310억 원) 증가했다.

 

반면 기업 자유예금은 같은 기간 234조 7850억 원에서 219조 8900억 원으로 6.3%(14조 8950억 원) 감소했고, 저축예금은 24조 4480억 원에서 11조 5250억 원으로 52.9%(12조 9230억 원) 줄었다.

 

기업 자유예금은 법인과 개인기업의 일시 여유자금을 은행에 예치하는 상품이며, 저축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로운 결제성 예금이다.

 

즉 지난해 개인과 기업은 입출금이 자유로운 대신 이율이 낮은 저축예금이나 기업 자유예금보다는 예치 기간을 정해놓고 상대적으로 고금리를 제공하는 정기예금 등으로 몰려간 것으로 추정된다.

 

저축성예금 중 5억 원 초과∼10억 원 이하의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75조 6660억 원 이었고, 1억 원 초과∼5억 원 이하는 211조 1000억 원으로 반년 전에 비해 각각 4.2%(3조 220억 원)와 5.4%(10조 7590억 원) 증가했다.

 

전년 말과 비교하면 9.4%(6조 5210억 원)와 8.8%(17조 540억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이처럼 고액 정기예금 규모가 빠르게 늘어난 것은 지난해 7월과 10월 두 번의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는 등 한은의 금리 인상 랠리가 계속됐기 때문"이라며 "이것이 차례로 예금 금리에 반영되자 개인 고액 자산가는 물론, 기업들도 은행 예금에 여윳돈을 넣어둔 영향이다"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