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첨단업종 분야 인력 수요 대응을 위해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고충을 함께 해결하고자 경기도형 대학혁신플랫폼을 운영한다고 15일 밝혔다.
대학혁신플랫폼은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공약사업으로 우수 역량을 가진 대학과 연구기관, 민관 전문 교육기관, 협회·조합 등의 혁신기관이 산학연 혁신생태계를 구축해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내용이다.
이는 도내 대학 2~3곳과 혁신기관이 협의체(컨소시엄)를 구성해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거나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방문해 기술 지원을 하는 일종의 지원체계다.
특히 여러 대학과 혁신기관이 협력해 민간 기업을 지원, 각 대학의 특화된 교육과정 등을 공동 운영하고 학생들에게 교류와 전문지식 습득의 기회를 제공한다.
도는 도내 일반 대학을 중심으로 혁신기관과의 컨소시엄을 구성하도록 안내하고 있으며 다음 달 13일까지 컨소시엄을 모집한다.
최종 선정은 7월 말 완료된다. 선정된 컨소시엄에는 매년 10억 원 최대 6년간 총 60억 원의 사업비가 지원된다.
도는 지난달 25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사업 추진 배경, 지원 분야와 신청 절차 안내, 평가 및 선정 방법 등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 일반대 23개교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김현대 도 미래성장산업국장은 “대학이 보유 자원을 활용해 지역산업체의 일자리 수요공급 불일치 해소와 기술개발 지원 등 지역 현안 해결의 주체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