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가 둔화되면서 카드론과 결제성 리볼빙 이용금액이 늘고 연체율까지 뛰면서 카드사들의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22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카드사들의 카드론 잔액은 34조 1210억 원으로, 작년 말(33조 6450억 원)보다 4760억 원 늘었다.
2019년 말 기준 29조 원대였던 카드론 잔액은 2020년 말 32조 원, 2021 년·2022년 33조 원대, 올해 1분기 34조 원대로 50∼60대를 위주로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 실제로 올해 3월 말 기준 연령별 카드론 잔액은 50대(10조 9950억 원)가 가장 많았다.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도 늘어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7개 카드사(신한·삼성·KB·롯데·우리·하나·현대)의 올해 4월 리볼빙 잔액은 7조 1729억 원으로 1년 전인 작년 4월(6조 2740억 원)보다 1조 원 가까이 늘어났다.
리볼빙은 일시불로 물건을 산 뒤 카드 대금의 일부만 먼저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는 서비스다. 결제대금 중 일부를 연체 없이 상환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자가 사실상 법정 최고금리(연 20%)에 가까워 소비자에게 부담이 된다.
연체율도 최근 3~4년 중 최고치를 기록해 카드사들의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올해 1분기 카드대금·할부금·리볼빙·카드론·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뜻하는 카드사의 연체율은 대부분 1%를 넘겼다. 롯데카드가 1.49%로 가장 높았으며 ▲신한카드(1.37%) ▲우리카드(1.35%) ▲KB국민카드(1.19%) ▲하나카드(1.14%) ▲삼성카드(1.1%)순으로 나타났다. 신한카드의 경우 2019년 3분기(1.4%)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KB국민카드는 2020년 1분기(1.24%) 이후, 삼성카드는 2020년 2분기(1.2%)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현재 연체율 문제는 은행부터 카드, 저축은행 등까지 모든 금융권에서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카드론을 받는 고객 다수가 다중채무자인 만큼 당분간 업계 전반적으로 긴장감을 갖고 리스크 관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