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노무현 대통령과 여야 대표간의 청와대 만찬회동에서 민주당 한화갑 대표가 대통령에게 건의한 형식으로 제기한 정치인 ‘대사면론’을 놓고 여의도 정가에선 뒷말이 무성하다.
실제로 요즘 정치권에선 노 대통령의 최측근인 안희정씨가 내달 16일 출소하는 것을 계기로 연말이나 연초쯤 대사면을 단행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고 있다.
특히 내년은 광복 60주년으로 국운회복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행사가 기획중이란 설이 파다하고, 더구나 내년 2월 노 대통령의 취임 3주년을 맞아 그 어느때보다 국민통합과 화합의 분위기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는 논의도 여권 내부에서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이같은 정관계 내부의 분위기를 감지한 민주당 한화갑 대표가 노 대통령에게 정치인의 대사면을 건의한 것이란 해석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하지만 한 대표가 청와대 만찬회동에서 갑작스레 제기한 대사면론에 대해 비판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우선 한 대표의 정치인 대사면 건의는 일단 ‘노무현 대통령 만들기’의 선봉에 섰던 정대철 전 의원을 염두에 뒀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무엇보다 정대철 전 의원의 경우는 그동안 여야 구분없는?두터운 친분?과 ?마당발? 행보 때문에 여야 정치권에서 안타깝다는 반응과 함께 사면을 해 줘야 한다는 공감대를 이뤄온 게 사실이다.
실제로 한 대표는 25일 청와대 만찬에서 노 대통령에게 “이 자리에 오기 전 각 당의 많은 사람들로부터 이 얘기를 꼭 해달라는 주문을 받았다”, “무슨 말씀인지 다 아실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 대표의 이같은 발언과 관련해 이런저런 설이 무성하다. 실제 청와대 만찬회동에 앞서 김원기 국회의장과 한화갑 대표,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가 사전에 접촉을 갖고 노 대통령에게 사면복권을 건의키로 했다는 의견조율을 거쳤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이날 청와대 회동에서 노 대통령과 박근혜 대표와의 날카로운 신경전속에 말을 꺼내기 어렵다는 막판에 한화갑 대표가 총대를 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정대철 전 의원진영에서도 이미 여러차례 김원기 국회의장에게 국민통합 차원에서 사면복권이 단행될 수 있도록 대통령에게 건의할 것을 부탁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