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중인 노무현 대통령은 29일 비엔티엔에서 한.중.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재개와 급격한 변동을 보이고 있는 국제환율 안정 협력을 위해 3국이 공동노력을 기울여 나가기로 했다.
노 대통령은 회담에서 지난 20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면서 중국이 북한에 특사를 파견하고, 일본이 납북자문제 해결을 위해 북측에 6자회담 참여를 촉구하는 등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중.일 양국의 노력을 평가했다.
노 대통령은 관계국들이 이런 노력을 하고 부시 행정부 2기가 이제 시작되는 점을 감안할때 북한이 6자회담에 조속히 참여해야 하며,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돌아와 논의함으로써 실질적인 진전을 도모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고, 이에 두 총리는 공감을 표시했다.
이와 관련, 3국 정상은 북한이 이러한 관계국들의 노력에 부응해 6자회담에 조속히 참여해 실질적 진전을 도모해 나가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정우성 청와대 외교보좌관이 전했다.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북핵문제는 동북아 안정에 중요한 문제다.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와 대화를 통한 북핵문제 해결을 지지하는 입장"이라며 "6자회담의 계속 추진은 국제사회의 일치된 염원이다. 중국은 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위해 국제사회와 더불어 설득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6자회담이 유일하고 가장 효과적인 해결의 자리라는 점을 일.미간에 인식을 같이했다"면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강조했다.
특히 최근들어 급격한 변동을 보여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는 환율 문제와 관련, 노 대통령은 "환율의 급격한 변화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으며 환율 안정이 이 지역의 경제를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고이즈미 일본 총리가 적극적인 공감을 표시했고, 원자바오 총리도 위안화 운영 과정을 설명하면서 원칙적인 동의를 표시했다. 특히 고이즈미 총리는 "환율 안정을 위한 3국간 협력과 공동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